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 OCT)[1] 은 초음파 대신 빛을 이용하여 생체 단면을 측정하며 10~20㎛의 축해상도와 60㎛의 수평 해상도를 보인다. 안구 뒷면 망막 혹은 시신경을 측정하는 빛간섭 단층 촬영기는 830nm의 빛을 이용하는 반면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기는 1,310nm의 빛을 이용한다. 비침습적으로 촬영을 할 수 있고, 앉아 있는 상태에서 검사가 가능한 반면 홍채의 뒷면 및 섬모체의 구조를 관찰하기 힘들다.
초음파 생체 현미경과의 비교
초음파 생체 현미경 (UBM) 검사보다 더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전방각 측정 지표는 유사하게 나타나며, 한 화면에 양쪽 전방각을 볼 수 있으므로 전방의 넓이나 수정체 만곡도 등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앉은 자세에서 촬영할 수 있다는 점과 눈에 접촉하지 않고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인 반면, AS-OCT의 경우 홍채 후면의 색소상피층을 투과하지 못하므로 홍채 뒷부분은 관찰할 수 없어 홍채-섬모체 돌기의 거리나 섬유주-섬모체 돌기의 거리는 측정할 수 없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분류
- Visante OCT
- Spectralis OCT anterior segment module
검사 방법
Visante OCT
- 검사하고자 하는 눈을 확인한 후 환자의 턱을 관찰대의 높이에 맞추고 눈의 위치 및 주시 방향, 얼굴의 방향을 올바르게 위치시킨다.
spectralis OCT AS module
- 전안부 촬영을 위해서는 전안부용 렌즈로 교체한다.
계측 인자
전방각
- 전방각 : 전방각의 측정은 각도측정의 기준이 되는 부위를 잡기가 어렵고 홍채의 구조가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검사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하여 정확한 각도로 측정하기에는 재현성이 낮다2.
- angle opening distance (AOD) : 각막과 홍채 사이의 거리로서 공막돌기를 기준으로 각막까지의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홍채와 수직으로 만나는 거리를 나타낸다. AOD 500과 AOD 750은 공막돌기를 기준으로 각막의 500㎛ 와 750㎛ 부위점에서 수직으로 홍채와 만나는 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 angle recess area (ARA) : AOD와 전방각저 사이의 면적을 나타낸다.
- trabecular-iris space area (TISA) : 공막돌기 후반부의 비여과부를 제외한 면적에 해당하며, 앞쪽으로 AOD, 홍채 표면, 공막돌기에서 홍채까지의 수직 거리, 각공막의 내벽을 경계로 둘러싸인 부위의 면적이며 TISA 500 또는 TISA 750 으로 나타낸다.
- trabeculo-iris contact length : 폐쇄각에서 공막돌기에서 접촉성 또는 유착성으로 폐쇄된 직선 거리를 나타낸다.3
홍채
- 홍채 두께 : 공막 돌기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에서의 홍채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 홍채 만곡도 : 홍채 뒷면의 만곡이 가장 심한 부위에서 홍채 색소상피층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나타낸다.
- 홍채 단면적 : 공막돌기에서 동공연까지의 단면적을 측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홍채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2].
수정체
- Lens vault (LV)는 양쪽 공막돌기를 연결한 선에서 수정체 전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나타낸다[3].
- 전방넓이 (AC width) : 공막돌기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 전방 면적 (AC area) : 홍채, 수정체와 각공막 내면으로 둘러싸인 부위의 넓이를 나타내며, 이를 바탕으로 전방 부피 (AC volume) 를 계산해 내어 보여준다[4].
참고
- ↑ 안과 검사 제 3판, 2013 (엄부섭 외, 도서출판 내외학술)
- ↑ Aptel F et al. OCT quantitative analysis of iris volume changes after pharmacologic mydriasis. Ophthalmology. 2010 Jan;117(1):3-10. 연결
- ↑ Nongpiur ME et al. LV, thickness, and position in Chinese subjects with angle closure. Ophthalmology. 2011 Mar;118(3):474-9. 연결
- ↑ Wang N et al. A method of measuring AC volume using the AS-OCT and specialized software. AJO. 2007 May;143(5):879-8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