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
시력 (visual acuity; VA)[1] 은 임상에서 시각계의 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두 점이 떨어져 있다고 인식하는 최소 공간 해상도를 의미한다. 두 점이 눈과 이루는 각이 시각 (visual angle) 이고 단위가 분 (minutes of arc, 1/60˚) 이다.
발달
시력/발달 참고
분류
- 소수 시력 : 최소 시각의 역수를 소수로 표현한 방식이다. 즉 최소 시각이 1분일 때 0.0으로 표시하며 시력표 상의 시표 번호(0.1, 0.15, 0.2)를 그대로 표시한다.
- 분수 시력 :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력 표시법이다. 분자에 검사 거리, 분모에 시표 번호를 적는다. 번호 20의 시표의 문자폭은 20피트에서 1분의 시각을 가지게 되며, 이를 20피트에서 알아보면 시력은 20/20으로 기록하고 정상 시력으로 한다. 검사 거리는 20피트나 6m가 주로 사용된다. 20/40은 0.5와 동등한 시력을 나타내나 분수를 소수로 환산한 것은 아니다.
- 대수 시력 : 근래 미국에서는 분으로 표시된 시각의 대수로 시력을 표시하는 방식, 즉 logMAR가 사용되고 있다.
소수 | 분수 (foot) | 분수 (meter) | LogMAR |
---|---|---|---|
2.0 | 20/10 | 6/3 | -0.30 |
1.6 | 20/12.5 | 6/3.8 | -0.20 |
1.25 | 20/16 | 6/4.8 | -0.10 |
1.0 | 20/20 | 6/6 | 0.00 |
0.8 | 20/25 | 6/7.5 | 0.10 |
0.63 | 20/32 | 6/9.5 | 0.20 |
0.5 | 20/40 | 6/12 | 0.30 |
0.4 | 20/50 | 6/15 | 0.40 |
0.32 | 20/63 | 6/19 | 0.50 |
0.25 | 20/80 | 6/24 | 0.60 |
0.2 | 20/100 | 6/30 | 0.70 |
0.16 | 20/125 | 6/38 | 0.80 |
0.125 | 20/160 | 6/48 | 0.90 |
0.1 | 20/200 | 6/60 | 1.00 |
참고
- ↑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