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9일 (일) 10:02 판

백내장 (cataract){[백내장}}

병리학적 분류

약물 치료 시도

백내장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식물에서 추출한 항산화제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브로콜리에서 추출 된 플라보노이트/temnoid가 셸렌산염으로 유발된 쥐의 백내장에서 항산화 역할을 하여 칼슘 이온의 수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 쥐의 복강 내에 액상의 양파 추출물을 주입하여 백내장 발생을 예방했다는 보고도 있다[1]. 중국의 약초를 이용한 의학에서 얻은 테트라메틸피라진 (tetramethylpyrazine) 이 셀렌산염 백내장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고 자유 라디칼을 포획하는 효소의 활성을 복원시켰다는 연구도 있다[2].

줄기세포 치료

백내장의 치료에서 줄기세포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사 람 수정체의 백내장을 제거하고 그 안에 줄기세포를 주입하여 수정체와 유사한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백내장을 치료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인간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마이크로 수정체가 인간의 수정체와 유사한 작용을 할수 있음이 실험실적인 연구에서 알려지고 있는데, 이의 부작용이나 독성에 관한 연구, 경제성과 성과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뒤따르고 있다[3]. 아직은 초기적인 시도이나 생명공학적인 시도로서 조직 재생이라는 다양한 시도 중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향후 발전 방향을 지켜봐도 좋을 것 같다.

참고

  1. Javadzadeh A et al. Preventive effect of onion juice on selenite-induced experimental cataract. Indian J Ophthalmol. 2009 May-Jun;57(3):185-9. 연결
  2. Tsai CF et al. Protective Effects of Rosmarinic Acid against Selenite-Induced Cataract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Int J Med Sci. 2019 May 10;16(5):729-740. 연결
  3. Dewi CU et al. Use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to Define Initiating Molecular Mechanisms of Cataract for Anti-Cataract Drug Discovery. Cells. 2019 Oct 17;8(10):1269.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