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1일 (월) 03:33 판 (→‎발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시력 (visual acuity; VA)[1] 은 임상에서 시각계의 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두 점이 떨어져 있다고 인식하는 최소 공간 해상도를 의미한다. 두 점이 눈과 이루는 각이 시각 (visual angle) 이고 단위가 분 (minutes of arc, 1/60˚) 이다.

발달

출생 직후에는 가쪽무릎체와 시피질을 포함한 뇌의 시각 중추와 망막이 아직 불완전한 상태이므로 미숙한 상태의 시력을 가지고 있다[2]. 따라서 엄마의 얼굴을 바라볼 때도 출생 직후에는 단순하고 대비가 큰 물체(예. 엄마의 머리 윤곽)만 알아보다가 점차 좀더 세밀한 부분(예. 엄마의 눈)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3]. 신생아 시력은 출생 후 처음 수개월 동안 매우 빠르게 발달하는데 이는 망막을 통한 적절하고 선명한 시자극이 가쪽무릎체와 시피질 발달을 자극함으로써 일어난다. 만약 출생 후 5~6개월경까지도 완전한 주시를 못한다면 정밀한 안과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어린이의 시력 평가는 단순한 안구 성장 외에 중추신경계의 성장과 성숙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4].

어린이의 시력은 출생 후 첫 2~3개월간 가장 빠르게 발달하는 민감기를 지나 2~3세가 되어 대략 20/30 정도의 시력에 도달하고, 그 이후 7~8세까지 계속 발달하므로[5] 만약 이 시기 동안 적절한 시자극을 받지 못하면 뇌의 시각중추에 손상을 입어 약시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정상 시력을 얻지 못하게 된다.[3]

정상 시력 발달의 기본 요소

  • 선명한 망막 상
  • 동일하게 선명한 두 눈의 망막 상
  • 적절한 눈 위치

분류

  • 소수 시력 : 최소 시각의 역수를 소수로 표현한 방식이다. 즉 최소 시각이 1분일 때 0.0으로 표시하며 시력표 상의 시표 번호(0.1, 0.15, 0.2)를 그대로 표시한다.
  • 분수 시력 :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력 표시법이다. 분자에 검사 거리, 분모에 시표 번호를 적는다. 번호 20의 시표의 문자폭은 20피트에서 1분의 시각을 가지게 되며, 이를 20피트에서 알아보면 시력은 20/20으로 기록하고 정상 시력으로 한다. 검사 거리는 20피트나 6m가 주로 사용된다. 20/40은 0.5와 동등한 시력을 나타내나 분수를 소수로 환산한 것은 아니다.
  • 대수 시력 : 근래 미국에서는 분으로 표시된 시각의 대수로 시력을 표시하는 방식, 즉 logMAR가 사용되고 있다.
표. 소수, 분수, LogMAR 시력 변환표
소수 분수 (foot) 분수 (meter) LogMAR
2.0 20/10 6/3 -0.30
1.6 20/12.5 6/3.8 -0.20
1.25 20/16 6/4.8 -0.10
1.0 20/20 6/6 0.00
0.8 20/25 6/7.5 0.10
0.63 20/32 6/9.5 0.20
0.5 20/40 6/12 0.30
0.4 20/50 6/15 0.40
0.32 20/63 6/19 0.50
0.25 20/80 6/24 0.60
0.2 20/100 6/30 0.70
0.16 20/125 6/38 0.80
0.125 20/160 6/48 0.90
0.1 20/200 6/60 1.00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Parks MM. Binocular vision. In : Tasman W, Jae ger EA, eds.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revise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1993;v.l. chap. 5
  3. 3.0 3.1 Adams DL. Normal and abnormal visual development. In : Taylor D, Hoyt CS, eds.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3rd ed. Philadelphia: Elsevier, 2005;chap 2.
  4. Day S. Normal and abnormal visual development. In : Taylor D, ed. Pediatric Ophthalmology, 2nd ed. London: Blackwell Science, 1997;chap. 2.
  5. right KW. Visual Development, amblyopia, and sensory adaptations. In :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1st ed. St. Louis: Mosby, 1995;chap.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