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 부종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28일 (일) 16:03 판 (Smile님이 시신경 유두 부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유두 부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시신경 유두 부종 (papilledema)[1] 은 뇌척수액압의 상승으로 시신경에 부종이 발생하여 안저 검사상 시신경 유두에 부종이 관찰되는 상태를 지칭한다.6,16

분류

  • 0기 : 유두 주위의 신경 섬유 다발은 방사상으로 축삭 다발의 비틀림이 없다. 상하극부의 흐림은 정상 변이일 수 있다. 드물게 주혈관들이 시신경의 상극부에서 신경 섬유에 의해서 가려질 수 있다.
  • 1기 : 비측 경계의 흐림, 신경 섬유 다발의 정상적인 방사상 배열의 파괴 등이 나타나며 이측 경계는 정상이나 이외의 다른 부분에는 시신경 유두의 주변을 따라 테가 생긴다.
  • 2기 : 1기보다 시신경 유두가 더 융기되어 있고 이측 경계

임상 소견

  • 초기 유두 부종
  1. 유두 부위 종창
  2. 신경 섬유의 횡문
  3. 유두 주위 망막 신경 섬유층의 흐림
  4. 유두 충혈
  5. 모세혈관 팽창, 출혈 및 그 외 망막 혈관의 변화
  6. 시신경 유두 함몰의 변화
  7. 유두 주위 반사
  8. 자발 정맥 박동의 소실
  • 완전히 형성된 유두 부종
  • 만성 유두 부종
  • 유두 부종 후 위축
  • 편측 혹은 비대칭 유두 부종

검사 및 진단

자세한 검안경 검사를 해야 하며 세극등 검사도 도움이 된다.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로 모세혈관 팽창, 색소 누출, 미세 동맥류 등을 보고 진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이미 초기 증후가 아니다. 초음파 검사, CT 촬영, 뇌압 측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감별 진단

유두의 비정상적 융기, 경사 유두, 드루젠, 안구내 염증, 앞허혈 시신경병증, 시신경염, 유두의 종양 침윤, 유수 신경섬유, 고혈압 망막병증 등과 감별해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

종괴 병변, 뇌실계 폐쇄가 있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하며, 흡수에 문제가 있으면 문합 수술을 해준다. 탈수제, 이뇨제, 스테로이드, 시신경초 감압술 등도 사용된다.

예후 및 합병증

뇌압만 낮아지면 몇 시간, 며칠 또는 몇 주일 만에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수술로 뇌종양이 제거되면 6~8주 후에 좋아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유두 부종의 진행이 빠르고 정도가 심하면 시력 예후가 나쁘다. 또 망막 동맥의 협착과 피막 형성이 있거나 유두 부종과 창백이 동시에 있을 때에는 시력 예후가 나쁘다.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