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13일 (수) 02:50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 (fluorescein angiography; FA)[1] 은 1960년대에 처음 도입된 이후 망막과 맥락막의 해부, 병리 그리고 생리학의 이해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2], FA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은 망막 혈관, 황반 질환을 정확히 평가하고,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필수적이 되었다[3][4].

플루레신의 특성

플루레신은 정상적으로 망막과 맥락막의 큰 혈관들을 빠져나가지 못하며, 망막 모세혈관도 내피세포 사이의 폐쇄띠 (zonula occludens) 에 의해 빠져나가지 못한다 (내측 혈액-망막 장벽). 하지만 맥락막 모세혈관은 혈관벽이 매우 얇고 많은 작은 구멍들이 있어서 정상적으로 플루레신이 빠져나간다. 브루크막도 통과하지만, 망막 색소상피층 (RPE) 은 세포 사이의 폐쇄띠에 의해 빠져나가지 못한다. 즉, 플루레신은 맥락막 모세혈관에서 누출되지만, 정상적으로는 RPE층을 투과할 수 없어 망막까지 확산되지는 않는다 (외측 혈액-망막 장벽). 시신경유두 혈관도 플루레신이 빠져나가지 못한다. 다만 후기에 주변 맥락막혈관 등에서 빠져나온 플루레신이 시신경 유두를 염색한다. 그래서 망막 모세혈관의 내측 장벽이나, RPE의 외측 장벽이 손상되는 질환들에서는 누출로 인한 형광 변화를 보이게 된다.

과정 또는 용법

  1. 먼저 피검자의 동공을 충분히 산동시킨 후 암실에 앉힌다.
  2. 칼라와 무적색광 안저 사진을 각각 촬영한다.
  3. 10% sodium fluorescein 5ml를 전주 정맥에 빠른 속도로 주사하고, 연속적으로 안저를 촬영한다. 안저 카메라는 플래쉬 방식이고, cSLO는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다.

최근의 안저카메라 장비는 필름 카메라 대신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하여 영상을 기록한다. cSLO도 디지털 장치와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기록한다. 이제는 디지털 영상 시스템으로 고해상도의 유효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검사 결과를 바로 분석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도 가능하게 되었다.

조영제의 부작용

금기사항은 임신초기 3개월, 과거 플루레신 쇼크 및 여타 주사제의 부작용 경험이 있는 경우 등이다. 신장 기능이 나쁜 경우는 천천히 주사하거나, 주사량을 줄이고, 사전에 내과와 협의할 수 있다. 투석 환자는 투석 전날 또는 직전 검사한다. 과민반응은 주사 후 1-2분 이내에 구역질,구토, 피부 발진,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5], 이때 주사를 2~3분 멈추는 것이 증상 경감에 도움이 돈!다. 가려움증은 대개 주사 후 10~15분에 나타나는데 수시간 후에는 사라지지만 항히스타민제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검사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으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미리 피검자를 안심시킨다. 드물지만 과민성 쇼크 (anaphylaxis) 가 생길 수 있고,기관지연축 (bronchospasm)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주사 직후 나타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근처에 항상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구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응급함을 준비한다. 간혹 주사 도중 팔 혈관의 파열로 색소가 누출된 경우는 통증 관리를 잘 하고 피부 괴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Novotny HR, Alvis DL. A method of photographing fluorescence in circulating blood in the human retina. Circulation. 1961 Jul;24:82-6. 연결
  3. Haining WM et al. Advanced techniques for FA. Arch Ophthalmol. 1968 Jan;79(1):10-5. 연결
  4. Schatz H. Letter: flow sheet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FA. Arch Ophthalmol. 1976 Apr;94(4):687. 연결
  5. Lipson BK et al. Complications of IV fluorescein injections. Int Ophthalmol Clin. 1989 Fall;29(3):200-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