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 콘택트렌즈
컬러 콘택트렌즈 (colored contact lens)[1]
역사
SCL에 색깔을 입힌 미용 렌즈는 1980년대부터 상용화되어 처음에는 옅은 푸른 빛을 띠는 렌즈로 제작되어 눈에 잘 보이도록 제작되었다가 차차 색이 짙어짐에 따라 미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1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는 정상적인 눈과 손상된 눈에서 홍채의 색깔을 변화시키고 강조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미용적인 목적이 가장 크다. 또한 색소 염료 적용은 아래의 방식으로 구분된다.
반투명
특정 파장의 빛만 통과시켜 홍채의 색을 강조한다.
- Dye dispersion : 주로 HCL에서 색을 입힐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렌즈 주 성분인 단량체 (monomer) 에 색소를 첨가하는 방법
- Vat dye tinting : 완전히 제조된 SCL을 친수성 염료에 넣어 렌즈 표면을 균질하게 염색하는 기법
- Chemical bond tinting: 렌즈를 염색 시 약에 효소와 함께 넣어 염료와 렌즈 중합체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만들어 염색하는 기법
- Printing : 흥채 무늬를 렌즈 표면에 찍어내는 기법
불투명
상당한 양의 빛을 차단하여 색을 전체적으로 다르게 보이게 한다.
- Dot matrix printing : 불투명한 점 모양을 SCL의 앞면에 프린트하고 화학 처 리를 통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죄종 미용 효과는 dot matrix pattern 과 비치는 홍채 색깔이 합쳐진 결과
- Laminate constructions : 콘택트렌즈 안에 불투명 홍채 패턴을 판 모양으로 넣는 방식으로,칠해진 패턴이 둘러 싸여 렌즈 안에서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렌즈 두께가 증가하여 Dk/t나 물리적 성질이 변할 수 있는 단점이 있음. 이 방식의 변형으로 '샌드위치 공법 (sandwich method)' 은 렌즈 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염료를 넣고 접합시킨 형태
- Opaque backing : 렌즈의 기질을 반투명 염료를 사용하여 색을 입히고 홍채 패턴을 렌즈의 뒷면에 불투명 염료를 사용하여 적용하는 방법
역학
최근 들어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가 콘택트렌즈 (CL)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여기에 특히 미용 목적의 컬러 CL 부분의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전체 CL 착용자 중 약 30%가 컬러 CL을 착용한다는 보고도 발표되었다[2].
분류[3]
- 미용 렌즈 (cosmetic lens) : 중심의 광학부와 주변부 착색 부위를 갖는 렌즈로, 각막을 크게 보이게 하고 홍채 색에 변화를 주어 미용 목적으로 사용된다.
- 보조구 렌즈 (prosthetic lens) : 시력이 없는 눈의 모양을 변화시켜 준다.
장점
겉모습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눈부심, 복시, 무홍채증 등의 환자에서는 치료 목적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주의사항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컬러 콘택트렌즈 착용 시 주변부에 입혀진 색으로 인해 주변부 시야가 흐려져 보인다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시야 역시 제한될 수 있고[4] 조명에 따라 시력이 달라질 수 있다 (fluctuations in vision)[5]. 이는 환자의 동공 크기 및 CL의 움직임과 중심 이탈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최근 논문에서는 컬러 CL 착용 시 안구 고위수차가 증가하였다는 보고도 있다[6][7].
참고
- ↑ 최신 콘택트렌즈 임상학, 2판, 2024 (한국 콘택트렌즈 학회, 군자출판사)
- ↑ Rah MJ et al. A meta-analysis of studies on cosmetically tinted SCL. Clin Ophthalmol. 2013;7:2037-42. 연결
- ↑ Lazarus M. Cosmetic and prosthetic contact lenses. In : Phillips AJ, Speedwell L. Contact lenses, 5th ed. Oxford: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7. pp. Chap 25.
- ↑ Josephson JE et al. VF loss w colored hydrogel lenses. Am J Optom Physiol Opt. 1987 Jan;64(1):38-40. 연결
- ↑ Albarrán Diego C et al. Influence of the luminance level on visual performance with a disposable soft cosmetic tinted CL. Ophthalmic Physiol Opt. 2001 Sep;21(5):411-9. 연결
- ↑ Hiraoka T et al. Influence of cosmetically tinted SCL on higher-order wavefront aberrations and visual performanc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Feb;247(2):225-33. 연결
- ↑ Takabayashi N et al. Influence of decorative lenses on higher-order wavefront aberrations. Jpn J Ophthalmol. 2013 Jul;57(4):335-4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