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 당뇨 망막병증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DR) 은 망막의 내경계막을 뚫고 유리체강 쪽으로 신생 혈관이 자라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두혈관신생(NVD)은 신생혈관이 시신경유두의 혈관으로부터 유리체강 내로 자라난 것이며, 주변혈관신생(NVE)은 그 이외의 망막순환으로부터 신생혈관이 자라난 것이다.
역학
미국 위스콘신주의 역학 조사에 따르면 유병률은 제 1형에 해당하는 30세 이전에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서 유병 기간이 5년 이하일 때 0%, 15년일 때 25% 이었고, 20년 이상에서 56% 이었다. 제 2형인 30세 이후에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서의 유병률은 5년 이하에서 2%, 15년 이상에서 16% 이었다.
단계
가벼운 (mild), 중등도 (moderate), 고위험 (high risk), 진행된 (advanced)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 분류하는데, 중등도 이하인 정우를 합해 '초기' 라고도 한다. 특히 임상적 으로 '고위험' 이 매우 중요하다.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다음 네 가지 위험 인자 중 세 가지 이상을 보일 때이다.
- 신생 혈관이 있는 것
- 신생 혈관의 위치가 시신경 유두 위나, 시신경 유두 경계에서 1 유두 직경 범위 내에 있는 것
- 신생 혈관의 정도가 중등도 이상인 것 (유두 혈관 신생에서는 시신경 유두 면적의 1/3~1/4 이상 크기 즉 표준 사진 10A 이상, 유두 혈관 신생이 없는 [[주변 혈관 신생]에서는 시신경 유두 면적 1/2 이상 크기)
-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전 출혈이 있는 것
유두 혈관 신생이 있을 때 중등도 이상의 주변 혈관 신생이 동반된다고 해서 그 위험이 더 이상 증가 하지 않기 때문에, 위험인자를 셀 때 주변 혈관 신생 유무와 정도는 유두 혈관 신생이 없을 때에만 고려한다. 유두 혈관 신생만 았으면 그 자체로 앞의 위험 인자 첫 두 기자를 충족시키게 되며, 만일 크기가 표준사진 10A 이상이라면 세번째 것도 해당하므로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고위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을 달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표준 사진 10A 이상의 유두 혈관 신생이 있을 때
- 표준 사진 10A 미만의 유두 혈관 신생이 있으면서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전 출혈이 동반되었을 때
- 시신경 유두 1/2 크기 이상의 주변 혈관 신생이 있으면서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전 출혈이 동반되었을 때
2년 동안의 심한 시력 손상 위험도를 보면 비증식성일 때 3.2%, 초기 증식성일 때 7%, 고위험 증식성일 때 26.2%이었고, 4년 동안에는 각각 12.8%, 20.9%, 44%로 고위험 증식성에서 뚜렷이 증가되므로 즉각적인 범망막 광응고술을 권장하였다.
안저 소견
신생 혈관
신생 혈관은 시신경 유두 주위나 후극부에서 잘 발생한다. 처음에는 겨우 보일 정도로 미약하다가, 점차 증식되면서 그물 모양이나 방사상 형태로 퍼져 나가는 수레 바퀴 (cart-wheel) 모양의 전형적 모습을 띤다. 이 때 혈관 굵기는 시신경 유두 경계의 정맥 두께의 1/3 에서 1/4 정도이다. 그리고 이러한 진행 속도를 몇 주만에 커지는 것부다 몇 달 동안 변화가 없는 것까지 다양하다. 증식이 다 이뤄진 후에는 퇴행하여 섬유화 조직으로 대체될 수도 ㅣ있으며, 이런 과정 중에 후유리체 박리나 섬유 혈관 조직의 수축이 없다면 신생 혈관은 시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자연 경과를 거쳐 퇴행할 수도 있다.
- 시신경 유두 신생 혈관 : 시신경 유두 위나 시신경 유두 경계에서 1 유두 지름 범위 이내에서 생겼을 때
- 주변 혈관 신생 : 그보다 바깥에 생겼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