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툴리눔 독소
혐기성 그람양성 세균인 Clostridium botulinum에서 생성되는 신경독소인 보툴리눔 독소 (botulinum toxin; BTX) 는 위장관이나 상처를 통해 체내로 유입되면 보툴리눔 독소증(botulism)을 유발하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독소 중 하나이다.[line]1989년 사시와 눈꺼풀 연축의 치료 목적으로 FDA 승인을 받은 후 2002년 주름 완화와 같은 미용 목적의 시술이 인정을 받음으로써 여러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병태 생리
콜린성 신경에 대단히 선택적으로 작용하는데, 신경-근 접합부에 도달하면 운동 신경 말단에 존재하는 특정 수용체에 무거운 사슬이 결합하고 신경 독소가 세포 안으로 내재화한다. 이후 분리된 사슬이 효소로 작용하여 아세틸콜린 소포가 세포막과 융합하는데 필요한 운반 단백질, 즉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단백을 분해하여 결국 아세틸콜린의 세포외 배출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콜린성 전달의 시냅스 이전 신경-근 차단을 유발하여 해당 근육의 일시적인 탈신경을 이룬다.[line]이 때 혈청형마다 각기 다른 SNARE 단백이 작용하는데, A, C1, E는 세포막에 위치한 SNAP-25(synaptosomal membrane-associated protein 25kD)에, B, D, F, G는 소포에 있는 VAMPs(vesicle-associated membrane proteins; synaptobrevins)에 작용하나, 같은 SNARE 단백일지라도 혈청형마다 서로 다른 위치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리시킨다. 한편 C1은 세포막에 위치한 syntaxin에도 작용한다.
분류
- Botox® : 세계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제품들 중 허가받은 치료와 미용 적응증이 가장 많으며 1989년부터 가장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다.
- Neuronox® (Meditoxin®) : 한국에서 개발된 제품들로 안정적인 약효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빠른 시간 내에 자리잡았다. 이들은 부형제로 Botox®과 완전히 같은 구성인 100U 당 인체 혈청 albumin 0.5mg과 NaCl 0.9mg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25U 보툴리눔 독소의 액상 제품이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 BTXA® : 1993년 이래로 거의 20년 가까이 사용되어 온 중국 제품으로 꾸준한 사용층을 확보하고 있다.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시판 허가가 나와 있는 유일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독특하게 부형제로 소젤라틴을 사용하고 있다. pH가 6.0으로 Myobloc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편이며 개봉 전에 냉동 보관만 가능하다.
- Dysport® : 현재 65개국 이상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Botox®와 함께 미국 FDA가 미용 적응증을 허가한 2대 제품이다.
- Myobloc® : 유일한 B형으로 A형 제품에 대한 항체가 생긴 환자들에게 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B형 독소는 A형에 비해 효과 유지 기간이 다소 짧다는 주장도 있지만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난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 Xeomin® : 150kDa짜리 순수 독소 단백질만 들어있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는 제품으로 무엇보다도 0.6ng/100U에 불과한 적은 단백질양을 자랑하고 있다. 비독소 단백질이 들어있지 않아 항체 생성률이 작을 것이라고 추정하나 미용 영역에선 어차피 항체 문제가 별로 중요하지 않다.
- PurTox® : 최근 미국 FDA 승인이 나고, 150kDa짜리 독소 단백질만 함유하고 있으므로 Xeomin®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적응증
- 눈꼬리 주름
- 눈밑 중심부의 잔주름
- 이마 주름
- 미간 주름
- 눈썹 처짐
과정 또는 용법
- 사용 전에는 냉동 보관하며 생리 식염수로 희석 후에는 2~8℃에서 보관하고 4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나 최근에는 희석 후 6주까지도 역가의 감소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다.
- 보툴리눔 독소 A는 친수성의 동결 건조된 형태로 상품화되어 있으며 사용 전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액상의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50U, 100U을 포함하는 vial에 방부제가 없는 0.9% 생리식염수로 희석시키며 생리식염수를 넣을 때는 천천히 주입하여 vial 내에서 용액이 심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심하게 흔들거나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독소의 비활성화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 희석 농도와 주입 용량은 시술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미용 목적으로는 보통 100U vial 당 2.0ml의 식염수를 첨가하여 0.1ml 당 5U의 농도를 많이 사용한다. 농도가 낮을 경우 효과 지속 기간이 짧아지고 주입량이 많아지면 주변의 근육 조직으로 확산되어 퍼져나갈 가능성이 커진다.
부작용 및 합병증
- 멍
- 통증
- 두통
- 사무라이 눈썹
- 과도한 보상 작용
- 눈썹 처짐 : 대개 눈썹의 중간-내측 부분이 처지며, 이런 현상은 눈썹을 위로 당기는 역할을 담당하는 이마근 하부가 마비되어 발생한다. 이마와 미간 주름을 동시에 치료하는 경우에 생기기 쉽다. 그리고 노인 또는 눈 뜨는데 이마근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서 호발한다. 환자에게 눈썹 바로 위를 손으로 자주 마사지 해주라고 권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