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 눈떨림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0일 (금) 00:19 판 (새 문서: <b>하향 눈떨림 (downbeat nystagmus)</b> == 원인 == 소뇌, 두개-경수 접합부의 병변 및 부근의 혈관 병변, 척추 동맥에 의한 꼬리쪽 뇌간 압박, 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하향 눈떨림 (downbeat nystagmus)

원인

소뇌, 두개-경수 접합부의 병변 및 부근의 혈관 병변, 척추 동맥에 의한 꼬리쪽 뇌간 압박, 소뇌 전위, 소뇌 변성, 척추-뇌바닥 동맥의 긴머리 확장증, 약물 중독 등이 있을 때 나타난다.

병태 생리

머리 위치를 바꾸면 눈떨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평형 모래 입력 (otolithic input) 이 병인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된다.

임상 소견

제일 안위에서도 나타나지만 알렉산더 법칙에 따라 하방 주시 때 강도가 가장 크고 상방 주시 때 가장 작다. 느린 파형은 선형이지만 가속형일 때도 있는데(알렉산더 법칙에 위배) 이는 주시 유지 기전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하방 및 외측주시 때 가장 잘 관찰되고 주시를 못하게 해도 느린 단계 속도에는 별 변화가 없다.
원활 하향 눈운동에 지장이 있으므로 수직 원활 추종이나 수직 전정 안반사가 비정상이고 상방 전정 안반사는 이득이 *0 이상으로 활동 과다를 보이기도 한다. 수평 주시 유지, 원활 추종, 머리눈 추적 등의 장애도 동반된다. 눈모음은 눈떨림의 빈도와 진폭에 영향을 주며 하향 눈떨림을 상향 눈떨림으로 바꾸기도 한다. 환자가 수직 복시를 호소하면 스큐 편위가 동반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하향 눈떨림의 결과로 떨림 보기와 자세 불안정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