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림 치료
가림 치료 (occlusion treatment, patching) 는 약시에 대한 치료로서, 정상안을 안대로 가리고 약시안을 사용하여 보도록 하는 방법이다.
치료의 시기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장기간 약시에 대한 적응이 되어 있어 가림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이미 낮은 경우가 많으며[1], 잠재되어 있는 시피질에 대한 자극이 떨어져 치료의 반응이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2]. 그러나 학동기 아동에서나 9세 이상의 약시에서도 가림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3].
가림 시간
2003년 The Pediatric Eye Disease Investigator Group (PEDIG) 의 연구에 따르면 3~6세의 심한 약시 환아에서 종일과 6시간 가림의 시력 호전 정도는 비슷하였으며[4] 중등도 약시 환아에서 2시간과 6시간 가림의 시력 호전 정도는 비슷하였다[5]. 안 등[6]도 약시의 심한 정도에 상관 없이 종일 가리는 것과 2시간 및 6시간 가리는 것이 효과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였다.
PEDIG의 연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가림 치료를 매일 시행하였다. 그러나, 최근 Agervi 등[7]은 가림 치료를 매일 하는 것과 격일로 하는 군 사이에 약시안의 최종 시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단점
피부의 상처나 알레르기와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유치원이나 학동기 환아에서는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어 치료를 거부하기도 한다[8][9].
참고
- ↑ El Mallah MK et al. Amblyopia : is visual loss permanent? BJO. 2000 Sep;84(9):952-6. 연결
- ↑ 안재균 등, 9세 이상 약시에서의 처음 가림 치료의 효과, JKOS 2002;43(9):1724-1729. 연결
- ↑ 김성재 등, 8세 이상의 굴절부등 약시 환아에서 종일, 부분 가림 치료의 효과, JKOS 2010;51(1):70-7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286 연결[
- ↑ Holmes JM et al; PEDIG. A randomized trial of prescribed patching regimens for treatment of severe amblyopia in children. Ophthalmology. 2003 Nov;110(11):2075-87. 연결
- ↑ Repka MX et al; PEDIG. A randomized trial of patching regimens for treatment of moderate amblyopia in children. Arch Ophthalmol. 2003 May;121(5):603-11. 연결
- ↑ 안진환 등, 한 눈 약시 환자에서 2, 6시간, 종일 가림 치료의 비교, JKOS 2009;50(11):1724-1729. 연결
- ↑ Agervi P et al. 2y FU of a randomized trial of spectacles plus alternate-day patching to treat strabismic amblyopia. Acta Ophthalmol. 2013 Nov;91(7):678-84. 연결
- ↑ Oliver M et al.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o. AJO. 1986 Sep 15;102(3):340-5. 연결
- ↑ Searle A et al. Psychosocial and clinic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 occlusion therapy for amblyopic children. Eye (Lond). 2002 Mar;16(2):150-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