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낭내 적출술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11일 (화) 00:09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백내장 낭내 적출술 (in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ICCE)[1] 은 1970년대 백내장 낭외 적출술 (ECCE) 이 주류가 되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던 백내장 수술법으로, 섬모체 소대를 파괴하여 수정체낭을 포함한 수정체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법이다[2].

역사

프랑스의 안과 의사 Charles de Saint-Yves (1667~1733) 가 처음으로 각막 절개를 통해 ICCE를 시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초기 발전하던 시기의 주요 과제는 수정체를 파열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잡는 방법과 수정체 위치에 영향주지 않고 안전하게 섬모체 소대를 파괴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었다[3]. 1957년 Barraquer가 α-chymotrypsin으로 유리체 혼탁을 치료하던 중 수정체의 섬모체 소대가 녹는 것을 발견하고 'zonulysin' 이라는 이름으로 상품을 개발하여 ICCE에 사용했다[4]. 1961년에는 Krwacwicz가 니켈 도금한 둥근 구리막대를 -79℃로 얼려서 수정체를 제거하는 Cryo-extractor를 개발했다[5].

적응증

  • 수술 현미경 사용이 불가능할 때
  • 수정체이탈이 있을때
  • 외상으로 인해 섬모체소대가 약할 때
  • 과숙 백내장에서 섬모체 소대가 약하고 수정체낭이 두꺼울때
  • 과숙으로 수정체가 수축되었거나 변성된 수정체 성분이 홍채나 섬모체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을 때
  • 안구가 말랑말랑하거나 유리체 변성이 있을 때
  • 수정체전낭이 얇아서 변성된 수정체기질이 밀려 나왔 을때
  • 녹내장으로 치료 중인 눈에서 수정체 유화술이나 ECCE를 하면 수정체 실질이 전방각을 막거나 후방에 유착되어 안압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을 때

단점

안구 앞부분과 뒷부분 사이의 장벽 역할을 하는 수정체 전체를 제거하기 때문에 유리체가 손상될 수 있고 망막 박리, 황반 부종, 각막 부전 등 합병증 위험도가 높다[6]. 또한 수술을 위해 각공막 절개를 크게 하므로 술 후 난시가 많이 생기고 치유가 느려 현재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7][8].

  1. 백내장 4판, 2022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 학회, 일조각)
  2. Davis G. The Evolution of Cataract Surgery. Mo Med. 2016 Jan-Feb;113(1):58-62. 연결
  3. Keeler R et al. Suction extraction : taking a grip on ICCE w the erysiphake. BJO. 2011 Sep;95(9):1211-2. 연결
  4. Barraquer J. Drugs and instruments used in cataract surgery. AJO 1966;61(1):184-185.
  5. Krwawicz T. Intracapsular extraction of intumescent cataract by application of low temperature. BJO. 1961 Apr;45(4):279-83. 연결
  6. Jaffe NS et al. Cataract surgery and its Complication, 5th ed. St. Louis: Mosby; 1990. p. 88-94, 409-411.
  7. Steinert RF. Cataract surgery, technique, complications, Management. Phladelphia: W.B. Saunders; 1995. p. 185-
  8. Basic and Clinical Science course, section 11,The for­ mation of the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20-2021;243-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