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5일 (일) 1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축 가장자리 두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축 가장자리 두께 (axial edge thickness; tEA))
- 2020년 3월 15일 (일) 1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체 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체 직경 (total diameter; TD) 은 렌즈의 전체 직경으로 광학부 직경에 양쪽 주변부 폭을 더한 길이이다. 대략 7.5mm에서 10.0mm 범위에서 제작되...)
- 2020년 3월 15일 (일) 1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하 중심 두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하 중심 두께 (geometric center thickness; tc))
- 2020년 3월 15일 (일) 12: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의 각막 곡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의 각막 곡률 (simulated keratometry; sim K))
- 2020년 3월 15일 (일) 12: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silicone acrylate; SA))
- 2020년 3월 15일 (일) 12: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부 커브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부 커브폭 (peripheral curve width; PCW))
- 2020년 3월 15일 (일) 12: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교정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교정 렌즈 (orthokeratology lens; OK lens))
- 2020년 3월 15일 (일) 12: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지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굴절 지수 (refractive index; n))
- 2020년 3월 15일 (일) 12: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목적 관리 용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목적 관리 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 2020년 3월 15일 (일) 12:36 Smile 토론 기여님이 LA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eft add, right substract (LARS) 는 렌즈가 왼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기존 축에 회전량을 더해 보정하고,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기존...)
- 2020년 3월 15일 (일) 12:34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곡률값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곡률값 (k value))
- 2020년 3월 15일 (일) 12: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면 정점 굴절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면 정점 굴절력 (front vertex power; FVP))
- 2020년 3월 15일 (일) 12: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면 광학부 반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면 광학부 반경 (front optic zone radius; FOZR))
- 2020년 3월 15일 (일) 12: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면 광학부 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면 광학부 직경 (front optic zone diameter; FOZD) 은 전체 직경과 후면 광학부 직경 (BOZD), 어두운 곳에서의 동공 크기 등에 의해 그 크기가 좌...)
- 2020년 3월 15일 (일)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편심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편심률 (eccentricity value; e value))
- 2020년 3월 15일 (일)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평형 함수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평형 함수율 (equilibrium water content; EWC))
- 2020년 3월 15일 (일)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량 산소 백분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당량 산소 백분율 (equivalent oxygen percentage; EOP))
- 2020년 3월 15일 (일) 12: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소 전달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산소 전달률 (oxygen transmissibility; Dk/t) 은 "렌즈를 통과하여 렌즈 아래의 눈물막에 도달할 수 있는 산소량을 나타낸 것으로 산소 투과율을...)
- 2020년 3월 15일 (일) 12: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소 투과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산소 투과율 (oxygen permeability; Dk) 은 콘택트렌즈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산소 투과율은 물질 자체의 특성으로 Dk 값으로 표시되는...)
- 2020년 3월 15일 (일) 12: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택트 렌즈 유발 주변부 궤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택트 렌즈 유발 주변부 궤양 (contact lens-induced peripheral ulcer; CLPU) 은 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발생하고 특히 밤에도 끼고 자는...)
- 2020년 3월 15일 (일) 12: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택트 렌즈 유발 유두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택트 렌즈 유발 유두 결막염 (contact lens induced papillary conjunctivitis; CLPC))
- 2020년 3월 15일 (일) 12: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택트 렌즈 불편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택트 렌즈 불편감 (contact lens discomfort; CLD) 은 렌즈 착용과 관련하여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시력 저하를 동반할 수...)
- 2020년 3월 15일 (일) 12: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택트 렌즈 유발 급성 충혈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택트 렌즈 유발 급성 충혈안 (contact lens-induced acute red eye; CLARE) 은 연속 착용 렌즈를 끼고 잔 후 일어났을 때 충혈과 눈물, 자극감 또는 통...)
- 2020년 3월 15일 (일) 11: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Common.c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 CSS 설정은 모든 스킨에 적용됩니다: div.refbegin { font-size:90%; margin-bottom:0.5em; })
- 2020년 3월 15일 (일) 0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면 정점 굴절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면 정점 굴절력 (back vertex power; BVP))
- 2020년 3월 15일 (일) 0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면 광학부 반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면 광학부 반경 (back optic zone radius; BOZR))
- 2020년 3월 15일 (일) 04: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면 광학부 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면 광학부 직경 (back optic zone diameter; BOZD) 은 렌즈 후면에 기본 커브에 해당하는 부위의 직경으로 렌즈 전체 직경의 65~85%를 차지한다....)
- 2020년 3월 15일 (일)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본 커브 반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본 커브 반경 (base curve radius; BCR))
- 2020년 3월 15일 (일)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본 커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본 커브 (base curve; BC))
- 2020년 3월 15일 (일)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축 가장자리 들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축 가장자리 들림 (axial edge lift; AEL) 은 후면 광학부 반경의 연장선과 가장자리의 간격을 말하고, 안검에 영향을 받지 않으려면 0.10~0.12mm 정...)
- 2020년 3월 15일 (일) 04: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축 가장자리 틈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축 가장자리 틈새 (axial edge clearance; AEC) 는 실제로 렌즈를 끼웠을 때 각막과 가장자리와의 눈물층 간격을 말한다. 안검에 영향을 받지 않으...)
- 2020년 3월 15일 (일) 04: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술 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술 후 (status post; s/p))
- 2020년 3월 15일 (일)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상형 가성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상형 가성 드루젠 (reticular pseudodrusen; RPD) 망막하 드루젠 모양의 침착(subretinal drusenoid deposit; SDD), 망상형 황반병증(reticular macular disease),...)
- 2020년 3월 15일 (일)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지 구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영아 눈떨림에서는 특정 방향을 주시할 때 눈떨림이 줄어들기도 하는데, 이 위치를 정지 구역 (null zone) 이라 부른다. 많은 환자에서 이 정...)
- 2020년 3월 15일 (일) 0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상 안압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 안압 녹내장 (normal-tension glaucoma; NTG) 은 "특징적인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과 시야 결손이 있으며 안압이 21 mmHg 이하이고 전방각은 개방...)
- 2020년 3월 15일 (일) 04: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직 계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직 계단 (vertical step) 은 "수직 방향으로 계단을 이룬 결손을 이르며 녹내장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그 발생기전은 시신경 유두의 상, 하...)
- 2020년 3월 15일 (일) 04: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이델 암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이델 암점 (seidel scotoma) 는 가끔 활모양 암점이 맹점과 연결되고 활처럼 휜 꼬리를 코쪽에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 2020년 3월 15일 (일) 0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부근 암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부근 암점 (paracentral scotoma))
- 2020년 3월 15일 (일) 0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모양 암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활모양 암점 (arcuate scotoma) 비에룸 영역(Bjerrum area)은 맹점으로부터 곡선을 그리면서 중심 주시의 위, 아래쪽으로 활처럼 휘어져 수평봉선...)
- 2020년 3월 15일 (일) 04:29 Smile 토론 기여님이 Full threshol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full threshold 는 "SITA strategy가 개발되기 이전에 가장 많이 사용하던 녹내장 시야 검사의 표준이다. == 단점 == 4 내지 2dB 간격으로 자극의 세...)
- 2020년 3월 15일 (일) 04: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주위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주위 맥락망막 위축 (peripapillary atrophy; PPA) 은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의 약 80%, 원발 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62~68%에서 발...)
- 2020년 3월 15일 (일)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출혈 (disc hemorrhage) 은 "<span style='color:blue;'>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의 25%</span>, 원발 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8%에서 발견되는...)
- 2020년 3월 15일 (일) 0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성 시신경 유두 오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천성 시신경 유두 오목 (acquired pit of the optic nerve; APON) 은 "seudopit이라고도 부르며, 사상판에 도달할 정도와 시신경 유두의 가장자리에 닿...)
- 2020년 3월 15일 (일) 0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 의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녹내장 의증 (녹내장 의심; glaucoma suspect) 은 현재 녹내장이 발병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녹내장 발병 위험이 있는 상태로, 안압이 지속적으...)
- 2020년 3월 15일 (일) 0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녹내장 (glaucoma) 은시신경병증으로 인하여 특징적인 시신경의 형태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시야 결손의 기능적 변화를 보이는 질환들의 총...)
- 2020년 3월 15일 (일) 0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한눈 운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눈 운동 (duction) 은 작용근(agonist)과 대항근(antagonist)이 같은 크기의 자극을 받아 수축과 이완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오른눈...)
- 2020년 3월 15일 (일) 0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삼 눈위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삼 눈위치 (tertiary eye position) 는 눈이 상내측, 상외측, 하내측 혹은 하외측을 주시할 때이다.)
- 2020년 3월 15일 (일) 0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이 눈위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이 눈위치 (secondary eye position) 눈이 내전, 외전, 상전 혹은 하전 되어 있을 때이다.)
- 2020년 3월 15일 (일) 0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일 눈위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일 눈위치 (primary eye position) 는 몸과 고개를 똑바로 하고 무한 거리에 있는 물체를 정면 주시할 때의 눈위치를 말한다. 그러나 일상 생활...)
- 2020년 3월 15일 (일) 0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락우드 지지 인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락우드 지지 인대 (suspensory ligment of Lockwood) 하사근과 하직근의 근피막(sheath)은 눈 하부에서 서로 융합되어 안쪽에서는 상행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