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비후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5월 19일 (금) 00:29 판 (새 문서: '''맥락막 비후 (pachychoroid)'''{{망막}} 의 정의는 아직 확실히 확립된 바가 없으며 보고들마다 조금씩 정의를 달리 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맥락막 비후 (pachychoroid)[1] 의 정의는 아직 확실히 확립된 바가 없으며 보고들마다 조금씩 정의를 달리 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파장가변 빛간섭 단층 촬영에서 중심소와 아래 맥락막 두께가 300㎛를 넘는 경우를 의미한다[2]. 맥락막 비후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맥락막의 구조적인 변화와 기능적인 변화를 함께 통칭한다[3].

임상 소견

맥락막 혈관의 직경이 커지고 투과성이 증대되고, 모세혈관이나 자틀러층 (Sattler's layer) 이 압축이 되어 두께가 얇아지기도 하는데, 보고들마다 이런 특징을 맥락막 비후의 정의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4].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Dansingani KK et al. En Face Imaging of Pachycroid Spectrum Disorders w SS OCT. Retina. 2016 Mar;36(3):499-516. 연결
  3. Castro-Navarro V et al. Pachychoroid : current concepts on clinical features and pathogene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21 Jun;259(6):1385-1400. 연결
  4. Spaide RF. The Ambiguity of Pachychoroid. Retina. 2021 Feb 1;41(2):231-237.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