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퍼 분류법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9일 (목) 06:30 판 (새 문서: 섀퍼 분류법 (Shaffer classification) 은 전방각 넓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홍채가 섬모체 전면 깊숙히 부착하고 있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섀퍼 분류법 (Shaffer classification) 은 전방각 넓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홍채가 섬모체 전면 깊숙히 부착하고 있고 편평한 경우에 전방각의 입구인 쉬발베선에서 맞은편 홍채와 이루는 각도를 45˚로 하고 이보다 좁아지면 30˚, 20˚, 10˚를 경계로 구분한다.

역학

전방각 넓이는 인구의 98.6%에서 넓이 3˚, 4˚이고 넓이 2˚는 1%, 넓이 1˚는 0.64%이다.

해석

  • 4˚ : 40˚ 이상
  • 3˚ : 30˚ 이상
  • 2˚ : 20˚ 이상
  • 1˚ : 10˚ 이상

20˚ 미만이면 좁은 전방각이라고 하고 20~45˚이면 넓은 전방각이라고 한다. Shaffer 분류가 1˚ 이하면 전방각 폐쇄 위험이 높고 2˚면 장차 더 얕아져서 폐쇄될 염려가 있으므로 계속 주의를 요한다.

단점

홍채면이 불룩하거나 오목하여 직선이 아니면 각도 측정이 어려운데 특히 고원 홍채이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