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11일 (수) 03:46 판 (새 문서: '''유리체 (vitreous)'''{{망막}} == 구성 == == 구조 == 투명하고 젤 같은 구조물로서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용적은 정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리체 (vitreous)[1]

구성

구조

투명하고 젤 같은 구조물로서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용적은 정시안에서 대략 4.0ml 이다.

중심 유리체

유리체 기저

유리체 기저 (vitreous base) 는 거상연에 걸쳐 있는 3차원의 구조로서, 그 범위는 거상연 앞쪽 2mm의 섬모체 평면부에서 거상연 뒤쪽 1~4mm 의 망막 부위까지를 포함한다. 유리체 기저의 뒤족 경계는 비측 망막보다 이측 망막에서,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더 후극부 쪽에 위치한다.

유리체 피질

중심 유리체를 둘러싸는 얇은 (100~300㎛) 막이며, 콜라겐 농도가 가장 높다.

  • 앞유리체 피질 : 유리체 기저 앞쪽에서부터 수정체 후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그 앞쪽면은 방수와 직접 접촉한다.
  • 뒤유리체 피질 (두께 100~110㎛) : 유리체 기저 뒤쪽의 망막 표면에 위치하며 내경계막과 유착되어 있다.

시신경 유두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없으며, 황반 앞에는 유리체 피질이 얇다.

기능

빛이 망막에 잘 도달하도록 유리체는 투명해야 하는데, 이는 유리체 내에 거대 분자와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가 낮고, 콜라겐 섬유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부에서는 낮은 농도로 시축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가능하다.

유리체는 점도가 높아서 물질의 확산 이동을 저해하는 장벽의 역할을 한다. 허혈성 망막 질환에서 유리체 절제술은 VEGF가 망막으로부터 전안부를 통해 제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망막 신생혈관 발생의 위험을 낮추고 홍채 신생혈관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