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소 녹내장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21일 (화) 08:52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색소 녹내장 (pigmentary glaucoma){[녹내장}} 은 안구 전반부의 색소의 비정상적인 분산에 의하여 초래되는 이차적인 개방각 녹내장의 한 형태이다.

역학

주로 젊은 사람의 근시안에서 볼 수 있으며, 남자에서 호발하며 백인에 많다. 주로 30대에서 많이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병태 생리

홍채 색소상피의 발생학적 이상이 그 근본 원인으로 추정되며 일부 색소 녹내장 환자에서 망막 색소상피 이상을 동반하며 망막 박리가 정상에 비해 많다는 점이 뒷받침한다.

위험 인자

일부 색소 녹내장 환자에서는 색소의 분산을 초래하는 심한 운동이나 phenylephrine 같은 산동제는 갑작스런 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운동에 의한 안압 상승은 pilocarpine 점안으로 방지할 수 있다.

임상 소견

  • 홍채의 중간주변부에 방사상 모양(radial spoke-like pattern)의 투시 결손 : 진단에 도움을 주나 인종에 따라 특히 흑인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는다. 아래 눈꺼풀이나 귀쪽 공막에 광섬유 조명을 비추거나 홍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약한 세극광선을 동공을 통해 비춰봄으로써 가장 잘 알 수 있다.
  • Krukenberg spindle : 각막 후면의 중앙부의 방추형의 색소 침착체, 진단에 특징적인 것은 아니다.
  • 전방각경 검사에서 섬유주 전반에 걸쳐 짙고 균일한 어두운 갈색의 색소대를 볼 수 있으며, 특히 아래쪽 쉬발베선을 따라 색소대를 만들 수 있다.

조직 병리

원발 개방각 녹내장을 가진 사람은 경미한 홍채 상피의 저색소 침착, 정상적인 확대근 및 멜라닌 발생을 갖는 반면에 색소 녹내장을 가진 환자에서는 홍채 상피의 부분적인 위축, 저색소 침착, 멜라닌 발생의 지연 및 홍채 확대근의 형성 부전을 볼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 pilocarpine : 동공 차단을 초래하면서 섬모체 소대와 주변 홍채와의 간격을 넓혀줌으로서 마찰을 감소시켜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근시안을 가진 젊은이에게서는 근시를 더 심화시켜 불편을 호소할 수가 있다. 심한 운동 후 안압 상승을 막기 위해 운동 30분 전후로 0.5% 점안하면 유용하다. 축동제를 사용할 때에는 망막 박리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 안압 하강제 : 색소 분산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레이저 치료

  • 예방적 레이저 홍채 절개술 : 녹내장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 약물 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을 경우 시행하기도 하지만 그 유용성은 제한적이다.

수술적 치료

  • 녹내장 수술 : 약물 및 레이저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 시행하고, 그 성공율은 다른 녹내장과 비슷하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