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 검사
시야 검사 (perimetry) 시야 측정의 목적은 '시야의 섬'이 정상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변화한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분류
- 동적 측정법 (kinetic technique) : 시표를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볼 수 있는 곳으로 움직여서 처음 빛을 감지한 곳을 중심 주시점으로부터의 거리로 표시한다. 동적 측정에서 시표의 움직임은 항상 일정해야 하며, 2~4˚/초 의 속도가 적당하다. 시표를 다시 피검자가 볼 수 없는 다른 방향으로 옮긴 다음 다시 피검자가 감지할 때까지 중심으로 움직이면서 15˚ 간격으로 반복 시행하여 전체 360˚를 검사한다. 이렇게 해서 이루어진 경계를 연결한 선을 아이솝터(isopter)라고 하며 그 모양은 시표의 크기와 밝기에 따라 다르다. 만약 시표를 시야의 여러 방향에서 무작위로 비추어 검사를 하면 15˚ 간격으로 비출 때보다 시야가 좁아지고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시표를 15˚ 간격으로 비추는 경우가 검사의 재현성이 더 좋다. 동적 측정법에서 암점의 검사는 암점의 중심에 자극을 주고 점차 모든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이는 부위를 찾는 방법으로 검사를 하여 암점의 크기와 형태를 알아낸다.
- 정적 측정법 (static technique) : 여러 개의 고정된 점에서 역치의 크기를 알아내는 검사법이다. 역치란 특정한 상황에서 주어진 자극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특정한 밝기의 빛으로 수 차례 자극을 주었을 때 그 중 50%를 인지할 수 있다면 그 빛의 밝기가 역치가 된다. 50%를 초과하여 인지할 수 있는 빛의 밝기는 suprathreshold 라고 하며 50% 미만으로 인지할 수 있는 빛의 밝기는 infrathreshold 라고 한다.
시야 판독 결과 지표 (global indices)
- 평균 감도 (mean sensitivity) : 모든 역치의 평균
- MD (mean deviation) : 역치와 정상 역치와의 차이의 평균, 전반적인 시야 변화를 나타낸다.
- GHT (glaucoma hemifield test) : 상하의 시야를 서로 거울상으로 비교하여 초기 녹내장성 변화를 검색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녹내장에서 상반부 또는 하반부 어느 한쪽에 먼저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 VFI (visual field index) : 험프리 자동 시야 검사계에 최근에 추가된 지표로서, MD 값이 백내장 등 매체 혼탁에 의한 전반적인 결손을 반영하는데 비하여, 국소적인 녹내장성 손상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cibel scale이 아닌 %로 결과를 나타내며 중심 시야에 대한 가중치도 고려되어 있다. 100%는 정상 시야를, 0%는 실명 상태를 나타낸다.
해석
- 주시 손실 : 높으면 (15~20% 이상) 검사 결과가 부정확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말한다. 주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환자를 적절하게 정렬하고, 검사 중에 환자의 주의를 관찰해야 한다.
- 위양성 :
- 위음성 : 이전의 반응에 기초해서, 환자가 반응해야 하는 빛 자극에 반응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10~15% 이상은 환자가 검사 과정 동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며, 결과는 실제보다 더 나쁘게 보일 수 있다.
- gray scale : 잠재적인 암점과 함몰을 빠르게 식별하고, 시야 손실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를 하는데 사용하기 쉽다.
- 총 편차 (TD) :
- 패턴 편차 (PD)
녹내장성 시야의 판정 기준
시야 검사는 학습 효과가 있으므로 몇 차례 검사에 의해 기준이 되는 시야 검사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정한 시야 장애는 학습 효과에 의해서도 개선되지 않는다.
최소한 요구되는 시야 장애로는 두번의 연속적인 검사에서 pattern deviation plot에서 활모양 영역에 있는 3개 이사으이 점의 역치가 5% 미만에서 나타나고 그 중 한 점이 1% 미만일 때이거나, glaucoma hemifield test 상 outside normal limit 이 나타날 때, 또는 PSD가 5% 미만으로 나타날 때이다. 검사를 판독할 때에는 신경 섬유 다발 결손에 해당하는 중심부근 암점, 활모양 암점, 코쪽 계단 등을 확인한다. 또한 망막 역치를 나타내는 수치를 하나하나 읽어서 작은 시야 이상도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양안의 차이도 초기 녹내장 시야 결손을 발견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