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점 협착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눈물점 협착 (punctal stenosis) 은 눈물점이 폐쇄되어 있거나 겉말림되어 있으면 눈물이 눈물길로 들어가지 못한다.

원인

눈꺼풀 겉말림이 오래되거나, 여러가지 후천적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눈꺼풀 겉말림이 오래되면 눈물점 협착이 생기는데, 눈꺼풀을 제 위치로 교정해주면 대부분 정상으로 돌아오며, 지속적인 녹내장 안약 점안에 의해 생긴 경우는 사용하던 안약을 다른 안약으로 대체한다.

수술적 치료

  • 1-snip 눈물점 성형술 : 대부분의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보통 점안 마취나 국소 마취 하에 시행하는데, Westcott 가위를 수직으로 잡고 가귀의 한쪽 날을 미리 확장시켜 놓은 눈물점과 팽대부 안으로 집어넣어 수직 방향으로 2~3mm 절개한다. 시술 자체는 비교적 쉽지만 적절한 술 후 관리를 하여 눈물점이 열려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 후 초기에는 눈물점 성형술의 절개 부위가 다시 폐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첫 1~2주 동안 1주일에 2~3회 눈물점 성형 부위를 눈물점 확장기로 다시 넓혀주어 절개 부위가 열린 상태로 아물도록 한다.
  • 2-snip 눈물점 성형술 : 눈물점의 결막면을 따라 두 개의 연결된 snip을 만들어 눈물점의 새로운 입구로 사용하는 것인데, 눈물점 주변의 조직을 삼각형의 쐐기 모양으로 절제하는 것이다.
  • 3-snip 눈물점 성형술 : 눈물 배출 경로에 대한 상당히 파괴적인 술기이며, 두 개의 수직으로 위치하는 snip의 밑부분을 세 번째 snip이 연결하는 것인데, 상당히 침습적인 면이 있어 일부 술자는 선호하지 않는 수술 방법이다.

재발의 치료

어떤 환자에서는 눈물점 성형술을 적절하게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눈물점 협착이 다시 생길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1-snip 눈물점 성형술을 다시 하면서 눈물길에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한다. 이 때 실리콘관은 눈물점의 개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실리콘관은 인체 내에서 반응이 적으므로 수술을 한 부위가 안정될 때까지 몇 개월간 두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