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intra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RMA) 은 망막 내에서 모세혈관이 부분적으로 구불거리며 확장되어 보이는 모습을 일컫는 말로, 혈류의 비관류 부위에서 발생한다. 틀:외부 사진

병태 생리

세동맥과 모세혈관 폐쐐에 따르는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생긴 망막내 신생 혈관이라는 주장과, 세동맥과 세정맥 사이의 이런 shunt 혈관이 먼저 생겨서 혈류가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모세혈관의 폐쇄가 뒤따른다는 주장이 있다.

조직병리

내피 세포의 증식이나 혈관 주위 세포의 변성과 같은 당뇨병성 미세혈관 변화와 함께, 신생혈관의 특징적인 소견도 보인다.

감별 진단

확장된 모세혈관이나 비전형적인 미세혈관류, 특히 표면에 국한된 초기 신생혈관과의 구분이 쉽지는 않은데, 세동맥과 세정맥을 동시에 지나치지는 않고, 형광안저혈관조영 초기부터 심한 누출을 보이지 않는 점이 구별에 도움이 된다.

경과 및 예후

모든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이 신생혈관으로 발전하지는 않으나, 주변 혈관 신생의 70%가 망막 내 미세혈관 이상이 있던 자리에서 발생하는 등, 신생 혈관의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다. 따라서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에 예후적 의의가 있는 소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