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유두 출혈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시신경 유두 출혈 (disc hemorrhage, DH)[1] 은 시신경 유두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유두나 유두 주위 영역의 독립된 불꽃 모양 혹은 선상의 출혈로 정의하며, 녹내장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2][3].

1120_OphthalmologyDx_ART-860x630.jpg
시신경 유두 상측의 출혈 Ophthalmology Advisor

위치

시신경 유두와 이를 둘러싼 망막 신경섬유층 (RNFL) 의 전사상판 (prelaminar) 영역에 위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병인

DH가 주로 시신경 유두의 패임이나 국소적인 RNFL 결손의 2시각 내에 위치하며 재발 역시 초기 DH 위치의 2시각 내에 위치한다는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시신경 유두, RNFL 등의 구조에 녹내장성 변화가 일어나 시신경 유두 혈관들의 기계적인 파열을 일으켜 DH가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4]. 반면 시신경 유두 내의 미세 경색이나 시신경 유두에서의 국소적 혈관 부전에 의해 DH가 발생한다는 견해도 있다[5][6].

역학

하이측이 상이측에 비해 두배 이상 많이 발생한다.

녹내장과의 연관성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의 25%, 원발 개방각 녹내장 환자의 8%에서 발견되는 반면 정상인에서는 단지 약 1%에서 발견되므로, 높은 특이도를 가진 녹내장의 진단 지표이다. 출혈이 없는 눈에 비해 시야 장애가 진행할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높아진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Drance SM. Disc hemorrhages in the glaucomas. Surv Ophthalmol. 1989 Mar-Apr;33(5):331-7. 연결
  3. Sonnsjö B et al. Disc haemorrhages, precursors of OAG. Prog Retin Eye Res. 2002 Jan;21(1):35-56. 연결
  4. Quigley HA et al. Optic nerve damage in human glaucoma. II. The site of injury and susceptibility to damage. Arch Ophthalmol. 1981 Apr;99(4):635-49. 연결
  5. Grieshaber MC et al. The pathogenesis of optic disc splinter haemorrhages : a new hypothesis. Acta Ophthalmol Scand. 2006 Feb;84(1):62-8. 연결
  6. Sugiyama K et al. The associations of ODH with RNFLD and PPA in NTG. Ophthalmology. 1997 Nov;104(11):1926-3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