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하전근 마비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양하전근 마비 (double depressor palsy; DDP)

역학

매우 드문 질환이다.

원인

주로 선천 마비이지만 후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하전근 마비, 핵상로 병변으로 인한 하직근 약화, 상직근 구축 등에 기인하나 원인은 불분명하다. 양상전근 마비의 원인근과 달리 두 하전근은 각기 다른 눈운동신경핵으로부터 지배받기 때문에 중추성 원인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 장기간의 하직근 마비로 인한 이차적인 상직근 구축 : MRI에서 하직근이나 상직근의 형태학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외안근 섬유화로 인한 상직근 긴장
  • 뇌혈관 질환에 의한 다리뇌 또는 소뇌의 손상 (후천)

임상 소견

내전과 외전할 때 모두 하전이 되지 않으며 정상안으로 주시할 때 마비된 눈은 상사시가 되고 마비안 눈꺼풀 뒤당김을 볼 수 있다. 아래쪽으로 주시할 때 마비안이 하전이 안되므로 거짓 눈꺼풀 처짐이 있을 수 있다. 눈모음 부족과 동공이 동반될 수도 있다.

감별 진단

  • 선천 양하전근 마비
  • 수직 듀안 안구후퇴 증후군
  • 상직근의 선천 섬유화
  • 선천 하직근 결여
  • 동안신경 마비

    2. 후천 양하전근 마비

  • 안와 바닥 골절에 의한 하직근 손상 또는 뼈 사이의 함입
  • 갑상샘 안병증
  • 이전의 과도한 하직근 후전술, 과도한 상직근 절제술 또는 반흔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