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드하임-체스터 병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에르드하임-체스터 병 (Erdheim-Chester disease, ECD) 은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드문 비-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이다.

역학

주로 중년층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며,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1].

병인

분자적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경로와 PI3K-AKT-mTOR 경로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돌연변이의 검출은 최근 진단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MAPK 경로의 B-rapidly accelerated fibrosarcoma gene (BRAF) 돌연변이는 ECD 환자의 54%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BRAF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이 도입되었다.

임상 소견

  • 골격
  • 중추 신경계 (25~50%)
  • 심장 (19~51%)
  • 혈관 (16~61%)
  • 피부 (22~33%)
  • 후복막 (35~63%)
  • 폐 (18~52%)
  • 안구, 안와

를 포함한 다양한 장기들이 관여한다[2].

골격

장골을 포함한 골격 침범이 가장 흔하며, 이전 연구에서는 74~95%의 침범률이 보고되었다[3]. 골격 침범이 ECD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소견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장골 침범이 없는 증례도 보고되고 있다. Estrada-Veras 등[3]의 미국 국립 보건원의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관찰적 연구에서 95%의 환자에서 장골 침범이 보고되었지만, 반면 Cives 등[4]의 4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리뷰에서 74%, Haroch 등의 261명을 대상으로 한 리뷰 연구에서는 79%의 장골 침범을 보고했다.

안와

보통 양측의 구후부 종괴를 발생시켜 양측 무통성 안구 돌출을 유발한다. 또한 안구 운동 제한과 복시가 보고되었고, 시신경의 압박은 시력 상실, 시신경 유두 부종 및 유두 주위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안구

망막하액, 장액성 망막 박리, 맥락막 주름 및 맥락막 신생혈관막이 포함된다[5].

진단

임상, 방사선, 조직학적 소견에 기반한다.

  • 일반 X선, PET : 장골 간단 및 골간부의 대칭적 골경화증은 최대 95%의 환자에서 관찰되는 주요 소견이다[3].

그러나 전형적인 골격 소견이 없는 경우에도, 최근 Haroche 등이 제안한 진단 기준에는 '털이 많은 신장' 의 주위 침윤, 코팅된 대동맥, 우심방 가성 종양, 황색종, 안구 돌출, 안면 부비동의 골경화증 같은 다른 증상들이 포함된다[6].

감별 진단

다양한 임상 증상과 희귀성으로 인해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들은 초기에는

  • Paget 병
  • 다발성 섬유경화증
  • 염증성 가성 종양
  • 림프종
  • 다발성 경화증
  • 사르코이드증
  • IgG4 관련 경화성 질환

등으로 오진될 수 있다.

치료

인터페론

  • 인터페론-α
  • PEG화된 인터페론-α

ECD의 전통적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되고 있지만, 관련된 장기에 따라 반응률이 다르며, 이전 연구에서는 50~80%의 반응률이 보고되어, 표적 치료에 접근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는 여전히 좋은 방법이다.

표적 치료

  • BRAF-V600E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 vemurafenib[7], dabrafenib
  • 없는 경우 :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MEK) 억제제[8] (cobimetinib, trametinib)

참고

  1. Goyal G et al. ECD : consensus recommendations for evalu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in the molecular era. Blood. 2020 May 28;135(22):1929-1945. 연결
  2. Haroche J et al. Erdheim-Chester disease. Curr Rheumatol Rep. 2014 Apr;16(4):412. 연결
  3. 3.0 3.1 3.2 Estrada-Veras JI et al. The clinical spectrum of ECD :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Blood Adv. 2017 Feb 14;1(6):357-366. 연결
  4. Cives M et al. Erdheim-Cheste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Crit Rev Oncol Hematol. 2015 Jul;95(1):1-11. doi: 10.1016/j.critrevonc.2015.02.004. Epub 2015 Feb 17. PMID: 25744785.
  5. Park JK et al. ECD and vemurafenib : a review of ophthalmic presentations and clinical outcomes. Orbit. 2023 Jun;42(3):233-244. 연결
  6. Brodie J et al. ECD : 2 cases from an ophthalmic perspective. AJO Case Rep. 2020 Nov 2;20:100984. 연결
  7. Haroche J et al. Reproducible and sustained efficacy of targeted therapy w vemurafenib in patients with BRAF(V600E)-mutated ECD. J Clin Oncol. 2015 Feb 10;33(5):411-8. 연결
  8. Diamond EL et al. Efficacy of MEK inhibition in patients w histiocytic neoplasms. Nature. 2019 Mar;567(7749):521-52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