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샘 낭종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3월 1일 (수) 05:18 판 (→‎치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땀샘 낭종 (hidrocystoma)[1]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드문 양성 표피 낭성 병변이다[2].

역학

성인 눈꺼풀 종양의 5%, 소아 눈꺼풀 종양의 1%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류

아포크린 땀샘은 그 위치가 액와, 유두, 외이도, 외음부,그리고 눈꺼풀과 같은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있지만, 에크린 땀샘은 몸 전반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 에크린 땀샘 낭종 : 눈꺼풀 테두리를 제외한 안구 주변부에 밀집되어 있는 에크린 땀샘이 막히면서 발생하는 유관 저류낭종이다[3].
  • 아포크린 땀샘 낭종 : 눈꺼풀 테두리에 위치한 몰 (Moll's) 샘이 낭성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병변이다[4].

임상 소견

안와 주위의 땀샘 낭종은 주로 눈꺼풀과 안쪽 눈구석에서 발생한다[5].

조직학

에크린, 아포크린 땀샘 낭종을 임상적 소견 으로 감별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조직학적으로 두 아형을 감별하는데, 에크린 땀샘 낭종의 경우 하나 또는 두 개의 입방세포층으로 경계 지어지는 단방성 낭이 특징인 반면[3], 아포크린 땀샘 낭종은 낭의 공동으로 자라 들어가는 유두상 돌기와 아포크린 세포에서 기인하는 분비물 (decapitation secretion) 이 특징적이다[4].

감별 진단

감별해야 할 낭성 병변으로 여포 낭종, 표피 낭종, 혈관종, 림프관종, 에크린 선단공 땀샘종 등이 있다[6].

치료

무증상의 크기가 작은 땀샘 낭종의 경우 경과관찰해 볼 수 있으나 자연 관해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에, 근본적 치료는 수술적 절제이다[7]. 피하에 위치한 땀샘 낭종의 경우 제거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안와에 생긴 경우에는 그 위치에 따라 절제 과정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며,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절제 시에는 종괴를 터뜨리지 않고 완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 중 종괴가 파열되어 완전 제거가 안 된 경우에는 재발할 수 있다[8]. Ssi-Yan-Kai 등[9]은 안와에 생긴 낭종을 제거하던 중 피막이 파열되었고, 병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검체가 불충분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내릴 수 없었다. 수술 2년 후 같은 위치에서 종괴가 만져져 재발이 의심되었고, 재수술에서 종괴는 피막 파열 없이 완전히 제거된 후 병리 조직검사에서 아포크린 땀샘 낭종으로 진단되었다.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Marangoz D et al. Orbital Eccrine Hidrocystoma. Turk J Ophthalmol. 2016 Oct;46(5):251-254. 연결
  3. 3.0 3.1 Alfadley A et al. Multiple eccrine hidrocystomas of the face. Int J Dermatol. 2001 Feb;40(2):125-9. 연결
  4. 4.0 4.1 Alagheband M et al. Asymptomatic periorbital, bluish cystic papule. Cortlandt Forum 2004;17:36-41.
  5. Golden BA et al. Cutaneous cysts of the head and neck. J Oral Maxillofac Surg. 2005 Nov;63(11):1613-9. 연결
  6. Al Rasheed R et al. Congenital giant orbital eccrine hidrocystoma. Am J Ophthalmol Case Rep. 2019 Nov 6;16:100570. 연결
  7. Palamar M et al. Giant Hidrocystoma of the Orbit Presenting with Inversion and Ptosis of the UL. Turk J Ophthalmol. 2017 Apr;47(2):113-114. 연결
  8. Valenzuela AA et al. Apocrine hidrocystoma of the orbit. Orbit. 2011 Dec;30(6):316-7. 연결
  9. Ssi-Yan-Kai IC et al. Recurrent giant orbital apocrine hidrocystoma. Eye (Lond). 2012 Jun;26(6):895-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