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8월 6일 (수) 05:07 판

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CAS) 1966년 Longo[1]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중추의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특정 물질에 의해 차단되거나 불충분한 양의 아세틸콜린이 분비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원인

등 다양한 약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소견

간단한 불안부터 환각을 동반하는 급성 정신증의 양상까지 보일 수 있다.

치료

원인이 되는 약물의 중단과 더불어 뇌에서의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 physostigmine[3]
  • galantamine hydrobromide[4]

와 같은 콜린에스테라제 (cholinesterase) 억제제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1. Longo VG. Behavior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atropine and related compounds. Pharmacol Rev. 1966 Jun;18(2):965-96. 연결
  2. Dawson AH et al.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anticholinergic delirium - theory, evidence and practice. Br J Clin Pharmacol. 2016 Mar;81(3):516-24. 연결
  3. Snir-Mor I et al. Physostigmine antagonizes morphine-induced respiratory depression in human subjects. Anesthesiology. 1983 Jul;59(1):6-9. 연결
  4. Baraka A et al. Reversal of CAS by galanthamine. JAMA. 1977 Nov 21;238(21):2293-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