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착 증후군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9일 (목) 13:05 판 (새 문서: <b>유착 증후군 (adherence syndrome)</b> 은 외안근 혹은 테논의 염증, 수술 후 발생하는 유착이 원인이 되어 안구 운동 장애를 주는 경우를 말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유착 증후군 (adherence syndrome) 은 외안근 혹은 테논의 염증, 수술 후 발생하는 유착이 원인이 되어 안구 운동 장애를 주는 경우를 말한다.

분류

  • Johnson I형 : 외직근과 하사근 사이에 비정상적인 유착이 있어 외직근이 마비된 듯이 외전 장애가 생긴다. 외직근을 공막 부착부에서 떼어내면 견인 검사에서 저항이 없어진다.
  • Johnson II형 : 상직근과 상사근 사이에 유착이 있어 상직근이 마비된 듯이 상전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수술적 치료

  • Johnson I형 : 외직근을 부착부에서 떼어낸 후 강하게 내전시켜 외직근과 하사근의 유착을 없애주어야 한다.
  • Johnson II형 : 상직근을 부착부에서 떼어낸 후 강하게 하전시켜 두 근육 사이의 유착을 없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