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심 검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1일 (토) 03:11 판 (새 문서: <b>눈부심 검사 (glare test)</b> 는 종래의 시력 검사로 검사 불가능한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며, 백내장 환자 등의 수술 적응을 결정...)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눈부심 검사 (glare test) 는 종래의 시력 검사로 검사 불가능한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며, 백내장 환자 등의 수술 적응을 결정하기 위해 일상 생활에서의 시력을 아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적응증

백내장, 후발 백내장, 각막 혼탁 등 중간 매체이 혼탁이 있는 증례의 수술 적응 결정이나 각막의 굴절 교정 수술 후 경과 관찰 등에서 필요하다.

검사 방법

  1. 투영면에서 36cm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환자의 머리를 고정한다.
  2. 이 거리에서 환자가 잘 볼 수 있도록 굴절 이상을 교정한 후 상기의 배경에 붙은 시표 슬라이드를 대비도의 차이가 많은 No.1 슬라이드부터 광원에 투사해가며 일반적인 시력 검사와 같이 란돌트 고리의 방향을 답하게 한다.
  3. 시표와 배경의 대비도 차이가 적은 슬라이드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4. 판독 가능하였던 최종 슬라이드의 대비도 차에서 눈부심 장애를 구한다.

판정

대비도가 작은 (번호가 큰) 슬라이드의 시표를 읽을수록 장애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슬라이드의 대비도값(%)으로 눈부심 장애를 표현한다. 예를 들면, 대비도 80%의 슬라이드밖에 읽지 못하였다면 눈부심 장애는 80%로 표현된다. 슬라이드를 비추는 화면이 더러워지면 시표 배경의 대비도가 변하며 따라서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