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 돌발 두위 현기증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15일 (수) 15:22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양성 돌발 두위 현기증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1]

병인

타원낭 (utricle) 의 평형반 (macula) 에 위치한 이석 (otolith) 이 변성되면서 부스러기들이 반고리관으로 들어가거나, 팽대마루 (capula) 에 달라붙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분류

현기증 및 눈떨림이 어느 반고리관에서 기원하느냐에 따라 분류한다.

  • 전 반고리관성
  • 후 반고리관성 : Hallpike 검사에서 후반고리관에 들어간 결석들이 팽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림프액의 흐름을 유도한다. 내림프액의 흐름이 팽대부로부터 멀어질 때 전정신경이 흥분하는 특성을 보인다.
  • 수평 반고리관성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