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 마취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8월 29일 (월) 03:19 판 (새 문서: '''전신 마취 (general anesthesia, GA)''' == 부작용 ==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심혈관 기능에 영향을 주며, 전신 혈관의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전신 마취 (general anesthesia, GA)

부작용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심혈관 기능에 영향을 주며, 전신 혈관의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혈역학적 변화를 일으키며 가장 흔한 부작용은 수술 중 저혈압 (intraoperative hypotension, IOH;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 <70 mmHg) 이다.1 수술 중 저혈압이 급성 신장 손상(acute kidney injury, AKI)이나 심근 손상(myocardial injury)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으나,2,3 허혈성 뇌졸중이나 망상의 경우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은 있지만 뚜렷한 증거를 찾기 어려운 등, 아직도 수술 중 저혈압이 장기 관류(organ perfusion)를 저해하고 파 괴(disruption)하여 장기 손상이 일어나는지 여부는 논란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1.

전신 마취는 주요 장기 뿐만 아니라 안구에도 영향을 미친다. 안구 혈류의 변화4 및 안압의 변화5,6 그리고 망막 혈관신생7에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