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 마취
전신 마취 (general anesthesia, GA)
부작용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심혈관 기능에 영향을 주며, 전신 혈관의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혈역학적 변화를 일으키며 가장 흔한 부작용은 수술 중 저혈압 (intraoperative hypotension, IOH;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MAP] <70 mmHg) 이다[1]. 수술 중 저혈압이 급성 신장 손상[2]이나 심근 손상[3]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으나,2,3 허혈성 뇌졸중이나 망상의 경우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은 있지만 뚜렷한 증거를 찾기 어려운 등, 아직도 수술 중 저혈압이 장기 관류를 저해하고 파괴하여 장기 손상이 일어나는지 여부는 논란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1].
전신 마취는 주요 장기 뿐만 아니라 안구에도 영향을 미친다. 안구 혈류의 변화[4] 및 안압의 변화[5][6] 그리고 망막 혈관신생[7]에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참고
- ↑ 1.0 1.1 Wesselink EM et al. Intraoperative hypotension and the risk of postoperative adverse outcomes : a systematic review. Br J Anaesth. 2018 Oct;121(4):706-721. 연결
- ↑ Goren O et al. Perioperative acute kidney injury. Br J Anaesth. 2015 Dec;115 Suppl 2:ii3-14. 연결
- ↑ van Waes JA et al. Association between Intraoperative Hypotension and Myocardial Injury after Vascular Surgery. Anesthesiology. 2016 Jan;124(1):35-44. 연결
- ↑ Geeraerts T et al. Sevoflurane effects on retrobulbar arteries blood flow in children. Br J Anaesth. 2005 May;94(5):636-41. 연결
- ↑ Samy E et al. Effect of general inhalational anesthesia on IOP measurements in normal and glaucomatous children. Int Ophthalmol. 2021 Jul;41(7):2455-2463. d연결
- ↑ Chang CY et al. Attenuation of IIOP with propofol anesthesia :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J Adv Res. 2020 Feb 13;24:223-238. 연결
- ↑ Kim HY et al. The effect of sevoflurane on retinal angiogenesis in a mouse model of oxygen-induced retinopathy. J Anesth. 2018 Apr;32(2):204-21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