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부심 검사
눈부심 검사 (glare test) 는 종래의 시력 검사로 검사 불가능한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며, 백내장 환자 등의 수술 적응을 결정하기 위해 일상 생활에서의 시력을 아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적응증
백내장, 후발 백내장, 각막 혼탁 등 중간 매체이 혼탁이 있는 증례의 수술 적응 결정이나 각막의 굴절 교정 수술 후 경과 관찰 등에서 필요하다.
검사 방법
- 투영면에서 36cm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환자의 머리를 고정한다.
- 이 거리에서 환자가 잘 볼 수 있도록 굴절 이상을 교정한 후 상기의 배경에 붙은 시표 슬라이드를 대비도의 차이가 많은 No.1 슬라이드부터 광원에 투사해가며 일반적인 시력 검사와 같이 란돌트 고리의 방향을 답하게 한다.
- 시표와 배경의 대비도 차이가 적은 슬라이드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 판독 가능하였던 최종 슬라이드의 대비도 차에서 눈부심 장애를 구한다.
판정
대비도가 작은 (번호가 큰) 슬라이드의 시표를 읽을수록 장애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슬라이드의 대비도값(%)으로 눈부심 장애를 표현한다. 예를 들면, 대비도 80%의 슬라이드밖에 읽지 못하였다면 눈부심 장애는 80%로 표현된다. 슬라이드를 비추는 화면이 더러워지면 시표 배경의 대비도가 변하며 따라서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