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공막 절개술

레이저 공막 절개술 (laser sclerostomy)

1970년에 Beckman 등에 의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여과 수술이 개발된 후 Jaffe, March 등에 의해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최근 Wilson과 Javitt이 통상적이 약물 치료나 섬유주 절제술로는 조절되기 어려운 녹내장안의 치료 방법으로 레이저 공막절개를 시행하여 널리 알려졌다.

병태 생리

녹내장의 모든 수술 방법에서 성공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수술 전 눈의 상태, 공막절개의 크기와 공막편의 두께, 결막 및 상공막의 손상 정도, 창상 치유 과정과 염증 반응, 시술 전후의 약물 투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술시 결막과 공막 등에 가해지는 조직손상으로 인한 염증과 과다한 섬유아세포 증식이 여과 수술후 실패의 주된 원인인데, 여과 수술 중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면 염증 반응과 섬유아세포 증식을 줄여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