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 상벽 골절

안와 상벽 골절 (superior orbital wall fracture)

역학

얼굴에 발생하는 골절의 1~5% 정도로 성인에서는 드문 편이다. 그 이유는 안와 상벽이 두꺼운 이마뼈와 이마굴로 구성되어 매우 단단하며, 위쪽으로 구부러진 모습으로 하벽에 비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변형이나 전위가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아는 이마굴이 없고, 뼈가 성인에 비해 약하고, 얼굴에 비해 두개골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상벽 골절이 성인보다 많이 발생한다.

원인

대부분 교통 사고에 의한 경우가 많다.

관련 질환

안구 파열, 망막 박리, 전방 출혈과 같은 안구 손상도 25%의 환자에서 동반된다.

증상

피부 밑 출혈, 윗눈꺼풀 혈종, 부종, 열상, 피부밑 기종, 복시, 안구 하방 편위, 안구 돌출, 눈꺼풀 처짐 등이 발생한다. 특히 외상 수시간 후에 발생한 윗눈꺼풀의 혈조은 상벽 골절을 의심할 수 있는 특이 소견이다. 시신경 손상으로 시력 감소가 나타날 수 있고, 뇌척수액 비루, 안와 출혈, 외안근 손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뇌경막의 손상으로 이차 뇌탈출증, 박동 안구 돌출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따.

검사 및 진단

진단을 위해 CT가 필요하며, 골절 부위의 확인과 함께 시신경관 주위로 골편이 돌출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

골절편의 전위가 없거나 경미할 경우에는 수술은 필요 없으며, 뇌기저 골절의 증상이 없으면 7~10일 정도 경과 관찰 한다. 뇌척수액 비루 또는 뇌기종이 있으면 고단위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수술적 치료

계속되는 뇌척수액 비루, 골절편의 전위, 뇌 또는 안와 내용물의 이탈, 15mm 이상의 큰 골절, 호전되지 않는 외안근의 손상 등이 있을 때는 복원 수술을 한다. 신경외과적 응급 상황(두개강내 이물, 이마뼈의 함몰 골절, 두개강내 출혈 등)이 있거나 전위된 뼈나 심한 안와 출혈에 의해 시신경 압박 증상이 있으면 응급 수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