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성 근시

외상성 근시 (traumatic myopia) 는 안구 외상 후 발생하는 안구의 가변적 근시성 변화를 말하며, 1870년 Kugel이 외상 후 발생하는 근시에 대해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외상 후 가변적 근시에 대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역학

수상안에 주로 발생하고 종종 양안에 관찰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0~-6.0 D 까지 굴절률의 변화는 다양하고 갑자기 발생하여 가변적이며, 수주 혹은 몇 달 이내 정상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원인

발생하는 근시성 변화에 대한 원인 및 기전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외상으로 인한 얕아진 전방과 섬모체 맥락막 삼출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 Ikeda 등[2]의 연구에서 UBM을 이용한 관찰을 통해 포도막-공막 유출의 증가가 홍채-수정체 격막 의 전방 이동 및 전방 깊이의 감소를 초래함으로써 근시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고[3] 수상 후 조절 마비제를 점안하여 굴절률을 한번 더 측정하여 나타난 변화값을 섬모체 연축에 의한 굴절 변화값으로 보았다[4][5][6].

Duke-Elder[7]는 외상으로 인한 섬모체 연축 및 섬모체띠의 약화가 근시성 변화를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Steele 등[8]에 따르면 외상성 근시의 굴절 변화는 다양하며 이는 홍채-수정체 격막의 전방 이동 없이 섬모체 부종으로 인한 수정체 두께의 증가가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1. Sedaghat MR et al. Induced Myopia Secondary to Blunt Trauma. Case Rep Ophthalmol Med. 2019 Dec 30;2019:1632828. 연결
  2. 2.0 2.1 Ikeda N et al. Traumatic myopia secondary to ciliary spasm after blunt eye trauma and reconsideration of its pathogene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6 Jul;254(7):1411-7. 연결
  3. Ikeda N et al. Pathogenesis of transient high myopia after blunt eye trauma. Ophthalmology. 2002 Mar;109(3):501-7. 연결
  4. Kim SI et al. A case report on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power after a blunt trauma. KJO. 2008 Mar;22(1):53-7. 연결
  5. Kutner BN. Case report. AACG in nonperforating blunt trauma. Arch Ophthalmol. 1988 Jan;106(1):19-20. 연결
  6. Dotan S et al. Shallow AC and uveal effusion after nonperforating trauma to the eye. AJO. 1982 Dec;94(6):782-4. 연결
  7. Duke-Elder S. System of Ophthalmology, Vol. 5. Mosby: St. Louise, 1970;354-5
  8. Steele CA et al. Traumatic myopia; an ultrasonographic and clinical study. BJO. 1987 Apr;71(4):301-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