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 점액 샘암종
피부에 발생하는 원발 점액 샘암종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PMA)[1]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저등급 악성 종양으로[2], 에크린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3].
역사
1952년 Lennox 등[4]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이후 1971년 Mendoza 등[5]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역학
원발 병소는 주로 두피, 경부이며 다음으로 눈꺼풀과 눈썹에 많이 발생하는데[6][7], 50대에서 70대 사이의 노년층에서,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고 백인 (77.2%) 에서 아시아인 (12.7%) 이나 아프리카계 미국인 (10.1%) 보다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4예의 증례 (상안검[8], 외안각[9], 하안검[10][11]) 가 보고된 바 있다.
임상 소견
또한 종양은 대개 무증상이고 단일성 결절 형태를 보이며 얼굴에서는 0.7~2.5cm 까지, 몸통에서는 8cm 까지 커지기도 한다. 융기된 종양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돔 형태를 보일 수 있는데, 병변의 경계는 유두종 모양 (papillomatous), 목이 있는 모양 (pedunculated), 버섯 모양 (fungating) 으로 다양하다. 색은 투명하거나, 약하게 탈색되거나, 회색, 붉은색 또는 푸른색으로 나타날 수 있고 질감의 경우 낭성의 부드러운 형태부터 단단한 형태로 나타난다. 표면은 매끄럽거나, 울퉁불퉁하거나, 각질화된 양상을 보일 수 있는데 한 병변의 경우 표면으로 혈관이 두드러지게 돌출된 경우도 있었으며, 다른 경우에는 정상적인 피부가 덮고 있는 형태도 있었다고 한다.
임상 경과
저등급 악성 종양으로 비록 천천히 자라고 전이가 될 가능성은 낮지만 재발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12],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은 편이다[13].
진단
병변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형태만으로 감별이 어렵고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하다[14].
감별 진단
PMA보다 전이성 점액 샘암종의 발생 빈도가 더 높기 때문에 피부에 발생하는 PMA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유방이나 위장관으로부터 전이된 전이성 점액 샘암종을 배제하는 것이 필요하다.[15]. 전이성 점액 샘암종에서는 체세포 분열이 더 많고 핵의 염색성이 더 높으며, 다수의 비정형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고 주로 종양 주변부의 콜라겐 다발 사이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나, 조직학적으로 PMA와 재발성 점액 샘암종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 Chauhan A et al.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eyelid : 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09 Mar-Apr;57(2):150-2. 연결
- ↑ Carson HJ et al.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 An IHC study. Am J Dermatopathol. 1995 Oct;17(5):494-8. 연결
- ↑ Lennox B et al. Mucin-secreting tumours of the skin w special reference to the so-called mixed-salivary tumour of the skin and its relation to hidradenoma. J Pathol Bacteriol. 1952 Oct;64(4):865-80. 연결
- ↑ Mendoza S et al. Mucinous (adenocystic) carcinoma of the skin. Arch Dermatol. 1971 Jan;103(1):68-78. 연결
- ↑ Headington JT.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skin : histochemistry and EM. Cancer. 1977 Mar;39(3):1055-63. 연결
- ↑ Weber PJ et al. Primary mucinous carcinoma. J Dermatol Surg Oncol. 1988 Feb;14(2):170-2. 연결
- ↑ 서희춘 등, 상안검에 발생한 원발 점액 샘암종, JKOS 2007;48(4):599-603. 연결
- ↑ 홍성민 등, 가쪽 눈구석 피부에 발생한 원발 점액 샘암종 1예, JKOS 2009;50(10):1582-1585. 연결
- ↑ 박준민 등, 하안검에 발생한 원발 점액 샘암종 1예, JKOS 2018;59(2):176-180. 연결
- ↑ 최연선 등, 아랫눈꺼풀의 원발 점액 샘암종, JKOS 2022;63(3):309-313. 연결
- ↑ Wright JD et al. Mucinous sweat gland adenocarcinoma of eyelid :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21 cases w histochemical and EM observations. Cancer. 1979 Nov;44(5):1757-68. 연결
- ↑ Bertagnoli R et al. Bilateral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 treated w Mohs surgery. Dermatol Surg. 1999 Jul;25(7):566-8. 연결
- ↑ Kamalpour L et al.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utcomes after surgery. JAMA Dermatol. 2014 Apr;150(4):380-4. 연결
- ↑ Terada T et al.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initially diagnosed as metastatic adenocarcinoma. Tohoku J Exp Med. 2004 Aug;203(4):345-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