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초기에는 위눈꺼풀판 결막에 경미한 충혈이 생기고, 결막의 경미한 두꺼워짐이 동반된다. | 초기에는 위눈꺼풀판 결막에 경미한 충혈이 생기고, 결막의 경미한 두꺼워짐이 동반된다. | ||
== | == 치료 == | ||
* 마이봄선 질환의 치료 | * 마이봄선 질환의 치료 | ||
* 국소 스테로이드 : 눈꺼풀판 충혈과 염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흔히 사용되지만, 거대 유두 결막염 치료에 특별히 효과적인 면은 증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급성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는데, 스테로이드의 필요성은 질환이 중증도임을 의미한다. 장기간 쓰는 것은 이득이 없다. | * 국소 스테로이드 : 눈꺼풀판 충혈과 염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흔히 사용되지만, 거대 유두 결막염 치료에 특별히 효과적인 면은 증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급성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는데, 스테로이드의 필요성은 질환이 중증도임을 의미한다. 장기간 쓰는 것은 이득이 없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이와 유사한 lodoxamide tromethamine, nedocromil은 비만세포 세포막을 안정화하고 제 1형 과민 반응을 억제한다. lodoxamide tromethamine은 봄철 각결막염에 스이며 거대 유두 결막염에는 아직 사용되지 않는다. | 이와 유사한 lodoxamide tromethamine, nedocromil은 비만세포 세포막을 안정화하고 제 1형 과민 반응을 억제한다. lodoxamide tromethamine은 봄철 각결막염에 스이며 거대 유두 결막염에는 아직 사용되지 않는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이 질환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시력이 소실된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지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이 질환은 증상에 대해 일찍 인지하고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한 경우는 렌즈 관리나 렌즈 착용 스케쥴의 변화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 진행된 경우 렌즈 사용을 중단하고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언제든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이 질환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시력이 소실된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지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이 질환은 증상에 대해 일찍 인지하고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한 경우는 렌즈 관리나 렌즈 착용 스케쥴의 변화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 진행된 경우 렌즈 사용을 중단하고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언제든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참고|각막}} | {{참고|각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