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 변성 (망막): 두 판 사이의 차이

361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월 25일 (수)
잔글
20번째 줄: 20번째 줄:
* 황색 위축성 반점 (색소상피의 탈색소화)
* 황색 위축성 반점 (색소상피의 탈색소화)
* 드물게 병변의 말단이나후 정계부에서 견인성 열공
* 드물게 병변의 말단이나후 정계부에서 견인성 열공
등의 순서의 빈도로 발생한다. 격자 변성 중 색소 침착은 82%에서 관찰되고 황백색의 반점도 80%에서 보이며 나뭇기지 모양의 하얀선은 12~17%정도에서 보고된다4.
등의 순서의 빈도로 발생한다. 격자 변성 중 색소 침착은 82%에서 관찰되고 황백색의 반점도 80%에서 보이며 나뭇기지 모양의 하얀선은 12~17%정도에서 보고된다<ref name=r4>Byer NE. Lattice degeneration of the retina. ''Surv Ophthalmol''. 1979 Jan-Feb;23(4):213-48. [https://pubmed.ncbi.nlm.nih.gov/424991/ 연결]</ref>.


격자 변성이 있는 망막과 접하는 유리체에서는 균일한 액화가 발생히지만 그 병변의 기장자리에서는 강한 유리체-망막 부착이 특징적이다. 그러므로 격자 변성은 견인성 망막 열공 발생이 드물지만 기능한 병변이다. 격자 변성에서 일어나는 작은 위축성 원공은 견인력의 결과가 아니라 오히려 망막이 점진적으로 짧아져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격자 변성 영역에서 보이는 황백색 반점들은 현재 내경계막과 내측망막의 잔여 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격지변성으로 망막이 점점 앓아지면 위축성 망막 원공이 발생할수 있다4,5.
격자 변성이 있는 망막과 접하는 유리체에서는 균일한 액화가 발생히지만 그 병변의 기장자리에서는 강한 유리체-망막 부착이 특징적이다. 그러므로 격자 변성은 견인성 망막 열공 발생이 드물지만 기능한 병변이다. 격자 변성에서 일어나는 작은 위축성 원공은 견인력의 결과가 아니라 오히려 망막이 점진적으로 짧아져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격자 변성 영역에서 보이는 황백색 반점들은 현재 내경계막과 내측망막의 잔여 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격지변성으로 망막이 점점 앓아지면 위축성 망막 원공이 발생할수 있다<ref name=r4 /><ref>Byer NE. LT natural history of lattice degeneration of the retina. ''Ophthalmology''. 1989 Sep;96(9):1396-401; discussion 1401-2. [https://pubmed.ncbi.nlm.nih.gov/2780007/ 연결]</ref>.


== 치료 ==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