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윤부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11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상윤부 각결막염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SLK) 은 1963년, Frederick Theodore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11명의 환자에서 윗눈꺼풀 결막의 심한 염증, 상부 안구결막 염증, 형광 염색 시 상윤부 각막과 인접한 결막에 나타나는 미세한 점 모양의 염색 소견, 상윤부 증식이 보이고, 환자의 50%의 상윤부와 각막 상부 1/4에서 실모양체 등의 소견이 관찰되며, 세균 감염의 증거는 없다고 발표했다.
'''윤부 각결막염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SLK)'''{{각막}} 은 1963년, Frederick Theodore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11명의 환자에서 윗눈꺼풀 결막의 심한 염증, 상부 안구결막 염증, 형광 염색 시 상윤부 각막과 인접한 결막에 나타나는 미세한 점 모양의 염색 소견, 상윤부 증식이 보이고, 환자의 50%의 상윤부와 각막 상부 1/4에서 실모양체 등의 소견이 관찰되며, 세균 감염의 증거는 없다고 발표했다.
== 역학 ==
== 역학 ==
주로 50세 이상에서 관찰되며, 남녀의 비는 3:1로 여성에서 더 빈번하다.
주로 50세 이상에서 관찰되며, 남녀의 비는 3:1로 여성에서 더 빈번하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눈물점 폐쇄 : 건성각막염이 동반된 환자에서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 눈물점 폐쇄 : 건성각막염이 동반된 환자에서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 전기 소작술, 냉동 응고술 : 상부 안구 결막을 전기 소작하자 증상 완화 및 결막 술잔 세포의 정상화가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냉동 응고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화학적 소작술과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 전기 소작술, 냉동 응고술 : 상부 안구 결막을 전기 소작하자 증상 완화 및 결막 술잔 세포의 정상화가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고, 냉동 응고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화학적 소작술과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