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시: 두 판 사이의 차이

235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2월 28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입체시 (stereoacuity)''' 란 우안과 좌안에서 받아들인 물체 이미지 간의 시차를 통해 얻는 깊이 정보를 말한다. 양안의 동공 중심 사이 거리가 평균 65 mm 존재하고 이로 인해 양안이 한 물체를 볼 때 서로 다른 각도로 상을 받아들여 뇌에서 상을 융합하면서 상대적인 깊이를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ref>Guo DD et al. Stereoacuity and Related Factors : The Shandong Children Eye Study. ''PLoS One''. 2016 Jul 8;11(7):e0157829. [https://pubmed.ncbi.nlm.nih.gov/27391873/ 연결]</ref>.
'''입체시 (stereoacuity)''' 란 우안과 좌안에서 받아들인 물체 이미지 간의 시차를 통해 얻는 깊이 정보를 말한다. 양안의 동공 중심 사이 거리가 평균 65 mm 존재하고 이로 인해 양안이 한 물체를 볼 때 서로 다른 각도로 상을 받아들여 뇌에서 상을 융합하면서 상대적인 깊이를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ref>Guo DD et al. Stereoacuity and Related Factors : The Shandong Children Eye Study. ''PLoS One''. 2016 Jul 8;11(7):e0157829. [https://pubmed.ncbi.nlm.nih.gov/27391873/ 연결]</ref>. 양안시의 가장 수준 높은 형태이며, 입체시 저하는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ref> Lambert SR et al. Taylor and Hoyt's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5th ed. Amsterdam: Elsevier, 2016;746-53.</ref>.
== 필요 조건 ==
== 필요 조건 ==
좋은 입체시를 가지기 위해서는 좋은 양안의 시력, 양안 안구 정렬 및 감각 융합이 필요하다<ref>심현석 등, 근거리 입체시와 사위 및 굴절 이상의 상관관계, 한국안광학회 2015</ref>. 따라서 단안의 시력이 떨어지는 약시나 부등시, 안구 정렬에 문제가 생기는 사시로 인하여 정상적인 양안 융합이 되지 않는 경우 입체시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좋은 입체시를 가지기 위해서는 좋은 양안의 시력, 양안 안구 정렬 및 감각 융합이 필요하다<ref>심현석 등, 근거리 입체시와 사위 및 굴절 이상의 상관관계, 한국안광학회 2015</ref>. 따라서 단안의 시력이 떨어지는 약시나 부등시, 안구 정렬에 문제가 생기는 사시로 인하여 정상적인 양안 융합이 되지 않는 경우 입체시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