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막: 두 판 사이의 차이

20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3월 22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사)
1번째 줄: 1번째 줄:
'''양막 (amniotic membrane; AM)'''{{각막}} 은 태반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막으로 모체로부터 각종 감염 및 면역 반응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양막 (amniotic membrane; AM)'''{{각막}} 은 태반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막으로 모체로부터 각종 감염 및 면역 반응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 역사 ==
== 역사 ==
안과 질환에서 양막이식술은 de Rotth<ref>de RÖtth A. Plastic Repair of Conjunctival Defect w Fetal Mmbranes. ''Arch Ophthalmol''. 1940;23(3):522–525.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614867 연결]</ref>가 1940년에 처음으로 그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한동안 각광을 받지 못했고, Kim and Tseng3이 1995년에 토끼 모델에서 양막을 사용하여 안구표면을 성공적으로 재건함을 보고한 이후 양막은 여러 가지 안과 질환에서 임상적으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안과 질환에서 양막이식술은 de Rotth<ref>de RÖtth A. Plastic Repair of Conjunctival Defect w Fetal Mmbranes. ''Arch Ophthalmol''. 1940;23(3):522–525.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614867 연결]</ref>가 1940년에 처음으로 그 효과를 보고하였으나 한동안 각광을 받지 못했고, Kim 등<ref>Kim JC et al. Transplantation of preserved human AM for surface reconstruction in severely damaged rabbit corneas. ''Cornea''. 1995 Sep;14(5):473-84. [https://pubmed.ncbi.nlm.nih.gov/8536460/ 연결]</ref>이 1995년에 토끼 모델에서 양막을 사용하여 안구표면을 성공적으로 재건함을 보고한 이후 양막은 여러 가지 안과 질환에서 임상적으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 생물학적 특성 ==
== 생물학적 특성 ==
두께는 0.2~0.5mm 로 상피, 바닥막, 기질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께는 0.2~0.5mm 로 상피, 바닥막, 기질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