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수술 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1,663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6월 9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렌티큘 제거 ==
== 렌티큘 제거 ==
펨토초레이저 절삭이 완료된 직후,렌티클은 여전히 자유롭게 제거할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접촉면 사이에 아직 미세한 연결 (micro-bridges) 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술자는 렌티큘을 주위로부터 자유롭게 만들기 위해 렌티큘과 각막실질 캡 (stromal cap) 사이와 렌티큘과 각막실질 바닥 (stromal bed) 사이를 무디게 박리하여 (blunt dissection) 미세한 연결을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렌티큘을 각막에서 꺼낸다.
펨토초레이저 절삭이 완료된 직후,렌티클은 여전히 자유롭게 제거할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접촉면 사이에 아직 미세한 연결 (micro-bridges) 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술자는 렌티큘을 주위로부터 자유롭게 만들기 위해 렌티큘과 각막실질 캡 (stromal cap) 사이와 렌티큘과 각막실질 바닥 (stromal bed) 사이를 무디게 박리하여 (blunt dissection) 미세한 연결을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렌티큘을 각막에서 꺼낸다.
# CRD (Chansue ReLEX® Dissector) 의 고리끝을 입구 절개창을 여는데 사용한다.
# 걸이(hook)로 작은 주머니(1×2mm)를 만든다. 이 주머니의 평면을 박리하는 동안 이 주머니가 렌티큘의 앞쪽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 걸이의 가장 원위 부분이 각막 표면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또는 눈에서 약간 위쪽으로 들어서) 해야 한다.
# CRD를 회전시켜 고리의 끝이 안구 중심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팁을 아래로 누르고 접선 방향으로 구심력을 이용하여 밀어낸다. 이 작업은 팁이 렌티큘의 가장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1mm 길이의 간격만 있으면 시작점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이 과정에서 기구가 앞쪽 인터페이스 (캡과 렌티큘 사이) 의 박리를 시작하기 전에 기구가 정확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 일단 렌티큘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CRD의 끝으로 앞쪽 평면을 분리한다.
# 3에서 분리된 렌티큘의 가장자리 아래로 CRD를 진행시키고, 각막기질 바닥으로부터 렌티클의 뒷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 환자에게 아래를 보도록 지시하고 기질 주머니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진 렌티큘을 제거하기 위해 렌티큘 포셉을 사용한다.
# 선택적으로 주머니는 미세물질1나 상피세포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캡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캡을 약간 들고,기질 바닥에 균등하게 반대 방향에서 주입한다.
== 양안 수술 ==
== 양안 수술 ==
환자를 충분히 상담하고 의료정보에 입각한 동의 절차를 거쳤다면 양안 수술이 가능하다. 양안 스마일 수술의 경우 순차적으로 한눈 씩 두 단계(완전한 레이저 절삭 및 렌티물 추출)로 진행할 수 있고, 단계별로 양안을 할 수 있다(양안을 레이저하고, 이후에 양안 렌티큘을 제거한다).
환자를 충분히 상담하고 의료정보에 입각한 동의 절차를 거쳤다면 양안 수술이 가능하다. 양안 스마일 수술의 경우 순차적으로 한눈 씩 두 단계(완전한 레이저 절삭 및 렌티물 추출)로 진행할 수 있고, 단계별로 양안을 할 수 있다(양안을 레이저하고, 이후에 양안 렌티큘을 제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