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613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6월 9일 (금)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 수술 중 ==
== 수술 중 ==
=== 레이저 조사 중 각막과 접촉 유리 분리로 인한 흡입 손실 ===
=== 레이저 조사 중 각막과 접촉 유리 분리로 인한 흡입 손실 ===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가장 일반적으로 환자가 눈을세게 꼭 감거나 갑자기 움직이는 경우
* 접촉 유리의 흡입구와 각막 사이에 액체가 들어간 경우
* 기포가 이동하여 그에 따른 압력이 접촉 유리에 가해지는 경우
이 경우 비쥬맥스는 흡입 손실이 발생한 시술 단계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모드로 전환된다.
레이저의 첫 번째 통과(즉,렌티큘의 후면을 생성하는 통과) 중에 흡입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사용자는 절차를 완료할 수 있는 옵션이 주어지지 않으며 절차를 Femto-LASIK절차로 변환하라는 요청을 받는다. 사용자는 동일한 수술 세션에서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수술을 몇 분 또는 며칠 연기한 다음 처음부터 완료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얼마 뒤 스마일 수술을 재시행하기로 결정한다면,이전 절개 부위로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렌티큘 하단의 깊이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수 있다. 이 설정은 기존 절단면이 렌티큘 아래의 새로운 절단면과 예측 불가능하게 상호 작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
그 외 다른 레이저 조사 단계에서 흡입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흡입 유리를 다시 도킹한 후 동일한 수술 세션에서 수술을 완료할수 있다. 이 상황에서 가장 일반적 인 문제는 원래의 중심을 유지하면서 눈에 접촉 유리 인터페이스를 다시 도킹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동공이 이전 경로의 기포에 가려지기 때문이다. 접촉 유리의 자국이 일치하도록 동일한 접촉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도킹 시에는 중심을 잘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재도킹이 완료되면 흡입 손실이 발생하는 단계에 따라 레이저가 펨토초 레이저 조사를 모두 반복하고 '캡' 패스만 하거나 측면 절개만 반복한다. 그런 다음 렌티큘 분리 및 제거가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Sharma 등[1]은 'cap' 절단 중 (즉 시술의 90% 이상이 완료된) 흡입 손실이 발생한 비협조 환자의 증례를 보고했다. 저자는 다시 도킹하여 수술을 반복하려고 시도하였지만,불행하게도, 또 다른 흡입 손실이 있어 결국 그 세션의 수술은 포기하였다. 그리고 나서 외과의사는 원래의 캡과 같은 두께로 Femto-LASIK 플랩을 성공적으로 완성했다.
=== 렌티큘 분리 중 캡 아랫면과 달라붙는 경우 ===
=== 렌티큘 분리 중 캡 아랫면과 달라붙는 경우 ===
렌티큘의 앞쪽 부분을 그 위를 덮고 있는 각막으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때 (분리 과정의 첫 단계), 술자가 잘못된 면을 선택하고 렌티클의 뒤쪽 부분이 대신 분리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렌티큘은 실질부 대신에 플랩 (flap) 의 아랫면에 달라붙은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후각막의 고정 없이 앞쪽 절개면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수술이 어려워지게 된다.
렌티큘의 앞쪽 부분을 그 위를 덮고 있는 각막으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때 (분리 과정의 첫 단계), 술자가 잘못된 면을 선택하고 렌티클의 뒤쪽 부분이 대신 분리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렌티큘은 실질부 대신에 플랩 (flap) 의 아랫면에 달라붙은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이 상황에서 후각막의 고정 없이 앞쪽 절개면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수술이 어려워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