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두 판 사이의 차이

6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6월 26일 (월)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구조 ==
== 구조 ==
시신경은 슈반 (schwann) 세포에 의해 미엘린수초를 형성하는 다른 뇌신경과 달리 희소돌기 아교세포에 의해 수초가 형성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이다. 세포체는 망막 [[신경절세포]]이며 약 120만 개의 축삭으로 이루어진다. 시신경의 길이는 약 50mm로 안구내, 안와내, 시신경관내, 두개내의 네 부위로 나누어진다.
시신경은 슈반 (schwann) 세포에 의해 미엘린수초를 형성하는 다른 뇌신경과 달리 희소돌기 아교세포에 의해 수초가 형성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이다. 세포체는 망막 [[신경절세포]]이며 약 120만 개의 축삭으로 이루어진다. 시신경의 길이는 약 50mm로 안구내, 안와내, 시신경관내, 두개내의 네 부위로 나누어진다.
=== 안구 내 부위 ===
=== 안구 내 ===
==== 사상판 앞 부분====
==== 사상판 앞 부분====
이곳에서 신경 섬유들은 다발을 이루며 [[성상세포]]로 형성된 관 모양의 아교세포층에 둘러싸여 있다. 이 신경섬유 다발 사이의 아교세포 조직이 잔기둥을 형성하며, 모세혈관들이 아교세포의 격막 속에 있고 좁은 혈관주위 결합 조직이 다시 모세혈관을 싸고 있다. 이 부분의 가장자리와 주위의 맥락막은 아교세포층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intermediary tissue of Kuhnt, border tissue of Jacoby).
이곳에서 신경 섬유들은 다발을 이루며 [[성상세포]]로 형성된 관 모양의 아교세포층에 둘러싸여 있다. 이 신경섬유 다발 사이의 아교세포 조직이 잔기둥을 형성하며, 모세혈관들이 아교세포의 격막 속에 있고 좁은 혈관주위 결합 조직이 다시 모세혈관을 싸고 있다. 이 부분의 가장자리와 주위의 맥락막은 아교세포층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intermediary tissue of Kuhnt, border tissue of Jacoby).
10번째 줄: 10번째 줄:
==== 사상판 부분 ====
==== 사상판 부분 ====
사상판은 조밀한 결합 조직으로 공막관을 가로지르며, 망막 중심혈관과 신경섬유 다발이 지나가도록 난형 또는 원형의 틈이 있다. 사상판은 층판형 구조로 결합 조직관과 아교세포 조직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사상판의 틈은 성상세포로 덮여있고 이것이 신경섬유 다발을 둘러싼 아교세포 막과 연결되어 신경섬유가 주위의 결합 조직과 분리된다. 시신경 유두의 혈관들은 내피세포들이 폐쇄막을 이루며 창이 없어 혈액-뇌 장벽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상판은 조밀한 결합 조직으로 공막관을 가로지르며, 망막 중심혈관과 신경섬유 다발이 지나가도록 난형 또는 원형의 틈이 있다. 사상판은 층판형 구조로 결합 조직관과 아교세포 조직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사상판의 틈은 성상세포로 덮여있고 이것이 신경섬유 다발을 둘러싼 아교세포 막과 연결되어 신경섬유가 주위의 결합 조직과 분리된다. 시신경 유두의 혈관들은 내피세포들이 폐쇄막을 이루며 창이 없어 혈액-뇌 장벽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안와 내 부위 ===
=== 안와 내 부위 ===
=== 시신경관 내 부위 ===
=== 시신경관 내 부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