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 내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1,74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11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감각 내사시 (sensory esotropia)'''{{사시}}
'''감각 내사시 (sensory esotropia)'''{{사시}}
== 원인 ==
한 눈의 시력이 심하게 감소하면 융합기능이 없어지고 사시가 생긴다. 원인은 굴절부등 약시, 외상, 각막 혼탁, 선천 또는 외상 백내장, 황반 병변, 시신경 위축 등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모든 질환이 가능하다.
== 임상 소견 ==
하사근이나 상사근기능항진이 많이 발견되나 기전은 모호하며 융합 상실은 [[해리 수직 편위]]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감각 내사시는 보통 일치성이나, 오래 경과되고 사시각이 큰 경우 견인 검사에서 외전이나 내전의 제한을 보이기도 한다. 어떤 내사시라도 시력 상실의 첫 징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초진을 할 때 전체적인 눈 검사는 필수적이다.
== 치료 ==
수술로 교정하는데,양안시의 회
복은 불가능하므로 수술의 목적은 미용적 호전이
다. 그러나 어린이에서 한 눈에 발생한 선천 혹은
외상백내장으로 인한 시력상실의 경우는 백내장수
술을 빨리 한 후 인공수정체를 넣거나 콘택트렌즈
를 착용하고 가림치료후 사시를 수술하면 시 력 이나
양안시회복이 가능할 수도 있다.
사시수술은 편위안에 내직근 후전술과 외직근 절제술을 하고 [[하사근 기능 항진]]이 있으면 하사근도 같이 약화시킨다. 근거리에서만 내사시가 있는 경우 내직근 부착부에서 13mm 뒤에 후봉합을 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큰 각이면서 견인 검사가 양성이면 코쪽 결막과 [[테논낭]]도 함께 후전한다. 경우에 따라 조정 봉합술도 도움이 된다. 수술 후 내사시가 재발하거나 [[속발 외사시]]가 생기기도 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