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pseudophakic cystoid macular edema; PCME)''' 은 백내장 수술 후 예상하지 못한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pseudophakic cystoid macular edema; PCME)'''{{망막}} 은 백내장 수술 후 예상하지 못한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 역사 ==
== 역사 ==
1953년 Irvine<ref>Irvine SR. A newly defined vitreous syndro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AJO''. 1953 May;36(5):599-619. [https://pubmed.ncbi.nlm.nih.gov/13040458/ 연결]</ref> 이 낭내적출술 후 유리체 변화와 함께 황반변성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아마도 황반에 작용하는 유리체 견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했고, 1966년 Gass 등<ref>Gass JD et al. CME and papilledema following CE. A fluorescein fundoscopic and angiographic study. ''Arch Ophthalmol''. 1966 Nov;76(5):646-61. [https://pubmed.ncbi.nlm.nih.gov/5955948/ 연결]</ref>은 백내장 수술 후 황반에 낭포 변화와 함께 FA 상 형광 색소의 꽃잎 모양의 축적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러한 모든 특징적인 양상들이 현재의 술 후 발생하는 [[낭포 황반부종]]에 해당하는 것이다.  
1953년 Irvine<ref>Irvine SR. A newly defined vitreous syndrome following cataract surgery. ''AJO''. 1953 May;36(5):599-619. [https://pubmed.ncbi.nlm.nih.gov/13040458/ 연결]</ref> 이 낭내적출술 후 유리체 변화와 함께 황반변성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아마도 황반에 작용하는 유리체 견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했고, 1966년 Gass 등<ref>Gass JD et al. CME and papilledema following CE. A fluorescein fundoscopic and angiographic study. ''Arch Ophthalmol''. 1966 Nov;76(5):646-61. [https://pubmed.ncbi.nlm.nih.gov/5955948/ 연결]</ref>은 백내장 수술 후 황반에 낭포 변화와 함께 FA 상 형광 색소의 꽃잎 모양의 축적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러한 모든 특징적인 양상들이 현재의 술 후 발생하는 [[낭포 황반부종]]에 해당하는 것이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 예후 ==
== 예후 ==
적어도 70%에서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중 약 50%에서 6개월 내 회복되며 90%에서 2년 내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적어도 70%에서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중 약 50%에서 6개월 내 회복되며 90%에서 2년 내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인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