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파열: 두 판 사이의 차이

475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8월 5일 (토)
잔글
21번째 줄: 21번째 줄:
== 치료 : CNV ==
== 치료 : CNV ==
이차적으로 발생한 CNV에 대한 치료로  
이차적으로 발생한 CNV에 대한 치료로  
* 레이저 광응고31
* 레이저 광응고<ref>Gross JG et al. Subfoveal NVM removal in patients w traumatic choroidal rupture. ''Ophthalmology''. 1996 Apr;103(4):579-85. [https://pubmed.ncbi.nlm.nih.gov/8618755/ 연결]</ref>
* 광역학 치료32-33
* 광역학 치료<ref>Harissi-Dagher M et al. PDT in young patients w CNV following traumatic choroidal rupture. ''AJO''. 2005 Apr;139(4):726-8. [https://pubmed.ncbi.nlm.nih.gov/15808180/ 연결]</ref><ref>Conrath J et al. PDT for subfoveal CNV complicating traumatic choroidal rupture. ''Eye (Lond)''. 2004 Sep;18(9):946-7. [https://pubmed.ncbi.nlm.nih.gov/15002014/ 연결]</ref>
* 수술적 절제,31,34,35  
* 수술적 절제,31,34,35  
* 유리체강내 anti-VEGF 주사36-39
* 유리체강내 anti-VEGF 주사36-39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맥락막신생혈관이 중심와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시신경유두 비측
CNV가 중심와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시신경유두 비측에 존재할 경우는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할 수도 있으며 자연적으로 소실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Barth 등39은 54안의 맥락막 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1안에서 CNV를 발견하였으며 이 중 5안에 anti-VEGF치료를 시행하였다. 평균 주사횟수는 4.2회였으며, 5안 모두 CNV가 퇴행하였다. 4안에서 시력이 호전되었고, 나머지 1안은 시력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존재할 경우는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할 수도 있으며
연적으로 소실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Barth 등39은 54안
의 맥락막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1안에서
락막신생혈관을 발견하였으며 이 중 5안에 anti-VEGF치료
시행하였다. 평균 주사횟수는 4.2회였으며, 5안 모두
락막신생혈관이 퇴행하였다. 4안에서 시력이 호전되었고,  
나머지 1안은 시력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