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 (→직접 맥락막 파열) |
잔글 (→임상 소견)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Aguilar와 Green은 맥락막 파열 후에 출혈, 섬유혈관 조직 증식 및 망막 색소상피 비후 소견이 발생함을 보여주었다. 병변 위쪽의 망막이 침범되는 정도는 망막외층의 소실로부터 망막 전층의 단절까지 다양하며, 섬유 신경교세포 반응으로 치유된다. 심한 외상의 경우 맥락막의 섬유혈관 조직이 망막을 넘어 유리체강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 Aguilar와 Green은 맥락막 파열 후에 출혈, 섬유혈관 조직 증식 및 망막 색소상피 비후 소견이 발생함을 보여주었다. 병변 위쪽의 망막이 침범되는 정도는 망막외층의 소실로부터 망막 전층의 단절까지 다양하며, 섬유 신경교세포 반응으로 치유된다. 심한 외상의 경우 맥락막의 섬유혈관 조직이 망막을 넘어 유리체강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비교적 탄력성이 좋은 망막과 충격에 강한 공막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력성이 떨어지는 브루크막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브루크막 및 인접한 맥락막 모세혈관 그리고 RPE층의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손상 직후에는 망막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안저 검사에서 초승달 모양의 병변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파열 혹은 망막하 출혈이 황반부를 침범할 경우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 |||
Hart 등<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P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은 후극부 맥락막 파열이 동반된 환자 10명의 초기 시력은 20/200 이하였으며 이 중 6명은 20/30 이상으로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 |||
맥락막 파열이 발생하면 수 주 후 신경교세포 반흔 (gliotic scar) 을 남기며 주변부는 과색소 침착을 보인다. | |||
* FA : 파열된 맥락막 혈관에서 망막외층으로 염색약의 누출을 관찰할 수 있으나 수일 후 호전된다<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osterior pole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 치유된 맥락막 파열부는 손상받은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인해 초기에는 저형광을 보이나 후기에는 주변부의 정상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염색약이 확산 되어 과형광을 보인다. CNV가 존재하는 경우 후기에 망막하 공간으로 염색약이 누출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 * FA : 파열된 맥락막 혈관에서 망막외층으로 염색약의 누출을 관찰할 수 있으나 수일 후 호전된다<ref>Hart JC et al. Indirect choroidal tears at the posterior pole : a FA and perimetric study. ''BJO''. 1980 Jan;64(1):59-67. [https://pubmed.ncbi.nlm.nih.gov/7356931/ 연결]</ref>. 치유된 맥락막 파열부는 손상받은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인해 초기에는 저형광을 보이나 후기에는 주변부의 정상 맥락막 모세혈관으로 염색약이 확산 되어 과형광을 보인다. CNV가 존재하는 경우 후기에 망막하 공간으로 염색약이 누출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 ||
* AF : RPE의 소실로 저형광을 나타내나 파열 경계부는 RPE 과증식으로 인해 과형광을 보일 수 있다<ref>Lavinsky D et al. FAF in patients w blunt ocular trauma. ''Acta Ophthalmol''. 2011 Feb;89(1):e89-94. [https://pubmed.ncbi.nlm.nih.gov/19906085/ 연결]</ref>. 망막하 출혈이 동반된 경우 저형광을 나타낸다. | * AF : RPE의 소실로 저형광을 나타내나 파열 경계부는 RPE 과증식으로 인해 과형광을 보일 수 있다<ref>Lavinsky D et al. FAF in patients w blunt ocular trauma. ''Acta Ophthalmol''. 2011 Feb;89(1):e89-94. [https://pubmed.ncbi.nlm.nih.gov/19906085/ 연결]</ref>. 망막하 출혈이 동반된 경우 저형광을 나타낸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특별한 치료 없이 보통 외상 후 2~3주 내에 자연 치유되나, 5~25%에서 맥락망막 혈관 문합, [[망막앞막]], [[장액 망막 박리]], CNV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 특별한 치료 없이 보통 외상 후 2~3주 내에 자연 치유되나, 5~25%에서 맥락망막 혈관 문합, [[망막앞막]], [[장액 망막 박리]], CNV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