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치료 목적과 방침)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치료 목적과 방침 == | == 치료 목적과 방침 == | ||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눈의 조직 및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되면, 상승된 안압을 |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눈의 조직 및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되면, 상승된 안압을 하강시킴으로써 그 장애를 경감 또는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다. 녹내장의 진단이 확실하면 치료 방침을 세워야 한다. 방침 중 우선 되는 것이 목표 안압이다. 안압의 현저한 감소가 필요하며, 녹내장의 진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약 20~40%의 안압 하강이 알맞은 목표 안압이 될 것이다.13-16 일단 목표 안압이 성취되면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그 목표 안압이 눈의 장애를 방지하는데 충분히 낮은 안압인지 판단해야 한다. | ||
* 약물 요법 : 눈 | * 약물 요법 : 한 눈 치료 시도로 그 약의 효력 및 환자와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충분한 격려와 교육이 환자의 순응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된다. | ||
*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 *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 ||
* [[섬유주 절제술]] | * 녹내장 수술 : 현재는 [[섬유주 절제술]]을 가장 많이 시행한다. 수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5-플루오로우라실]]과 [[미토마이신 씨]] 같은 항대사제를 창상 치유 억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
*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 | |||
== 목표 안압 == | == 목표 안압 == | ||
어떤 치료 방법에서든 목표 안압이 중요하다. 목표 안압은 20~40%의 현저한 안압 하강이 요구되나, 시신경 손상의 정도와 녹내장의 위험 요인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환자의 기대 수명이 길수록, 시신경 손상이 심할수록, 시신경 손상을 일으킨 안압이 낮을수록, 녹내장의 진행 정도가 빠를수록, 그리고 위험 요인이 있을수록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단일 목표 안압은 정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환자에서 지속적인 평가로 시신경과 시야의 안정화에 필요한 안압을 확인해야 한다. | 어떤 치료 방법에서든 목표 안압이 중요하다. 목표 안압은 20~40%의 현저한 안압 하강이 요구되나, 시신경 손상의 정도와 녹내장의 위험 요인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환자의 기대 수명이 길수록, 시신경 손상이 심할수록, 시신경 손상을 일으킨 안압이 낮을수록, 녹내장의 진행 정도가 빠를수록, 그리고 위험 요인이 있을수록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단일 목표 안압은 정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환자에서 지속적인 평가로 시신경과 시야의 안정화에 필요한 안압을 확인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