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국소 맥락막 혈관종 (circumscribed choroidal hemangioma) " == 원인 == 발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선천적으로 또는 소아기에 발생하였던 것이...) |
잔글 (→조직병리)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한 눈에서 국소적으로 발생하며 두 개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반적으로 오렌지-적색의 융기되 원형 또는 난원형의 종양이 적도부 뒤쪽에서 발견된다. 뒤쪽 중에서도 시신경 주위나 후극부에서 관찰되고 드물게 중심와에서도 발견된다. 발견 당시의 크기로는 직경 5~10mm, 두께 2~3mm의 중등도 병변이 절반을 넘는다. 종양의 색깔은 풍부한 혈관으로 인하여 오렌지-적색이 보편적이나 핑크색, 회색, 노란색, 얼룩 오렌지색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종양의 표면에 얼룩 반점,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의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 한 눈에서 국소적으로 발생하며 두 개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반적으로 오렌지-적색의 융기되 원형 또는 난원형의 종양이 적도부 뒤쪽에서 발견된다. 뒤쪽 중에서도 시신경 주위나 후극부에서 관찰되고 드물게 중심와에서도 발견된다. 발견 당시의 크기로는 직경 5~10mm, 두께 2~3mm의 중등도 병변이 절반을 넘는다. 종양의 색깔은 풍부한 혈관으로 인하여 오렌지-적색이 보편적이나 핑크색, 회색, 노란색, 얼룩 오렌지색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종양의 표면에 얼룩 반점,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의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 ||
== 조직병리 == | == 조직병리 == | ||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혈관 과오종으로 맥락막이 성장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조직학적으로 종양 안에 있는 혈관의 형태에 따라 모세혈관, 해면, 혼합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혈관 과오종으로 맥락막이 성장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조직학적으로 종양 안에 있는 혈관의 형태에 따라 모세혈관, 해면, 혼합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 ||
* 모세혈관형 : 작은 모세혈관이 결합 조직에 둘러싸여 있다. | |||
* 해면형 : 구성하는 혈관들이 크고 확장되어 있으며 간질이 적은 얇은 혈관벽을 갖고 있다. | |||
* 혼합형 : 모세혈관형과 해면형이 혼합되어 있다. | |||
종양 위에 있는 망막에서는 망막 부종, 낭포 변성, 시세포 소실, 신경교증을 관찰할 수 있고 가끔은 망막 색소상피가 망막으로 침범되는 경우도 있다. 이차 녹내장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경절 세포층과 신경섬유층은 보존된다. 종양의 표면에 보이는 오렌지 또는 오렌지-노란색의 반점은 리포푸신에 의한 것이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FA : 맥락막과 동맥 순환기에 종양 안에 있는 맥락막 혈관에서 불규칙한 과형광이 나타난다. 동정맥 순환기에 형광 누출이 증가하여 처음에 보였던 얼룩 모양이 점차 융합된다. 후기에는 외측 망막도 형광 염색된다. | * FA : 맥락막과 동맥 순환기에 종양 안에 있는 맥락막 혈관에서 불규칙한 과형광이 나타난다. 동정맥 순환기에 형광 누출이 증가하여 처음에 보였던 얼룩 모양이 점차 융합된다. 후기에는 외측 망막도 형광 염색된다. | ||
* ICGA : 특징적으로 초기에 과형광이 나타났다가 후기에 사라진다. | * ICGA : 특징적으로 초기에 과형광이 나타났다가 후기에 사라진다. | ||
* A-scan : 종양의 앞 표면에는 높은 스파이크가 나타나고 종양을 지나는 스파이크들은 50~100%의 내반사파를 보인다. 이러한 높은 내반사파는 맥 | * A-scan : 종양의 앞 표면에는 높은 스파이크가 나타나고 종양을 지나는 스파이크들은 50~100%의 내반사파를 보인다. 이러한 높은 내반사파는 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