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시력 장애) |
잔글 (→동공 폐쇄) |
||
99번째 줄: | 99번째 줄: | ||
대부분의 연구에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은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아르곤 레이저 사용 후 간혹 홍채를 절개한 쪽의 망막이 손상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레이저광을 망막 주변부로 향하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대부분의 연구에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은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아르곤 레이저 사용 후 간혹 홍채를 절개한 쪽의 망막이 손상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레이저광을 망막 주변부로 향하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
== 녹내장 == | == 녹내장 == | ||
== 동공 폐쇄 == | === 동공 폐쇄 === | ||
드물게 레이저 홍채 절개술 후 색소에 의해 동공 폐쇄가 일어나 시력이 떨어지고 안저 검사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아마도 레이저에 의한 염증과 시술 후 장기적인 축동제 사용이 원인일 듯하다. 따라서 안압 조절을 위해 축동제가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산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드물게 레이저 홍채 절개술 후 색소에 의해 동공 폐쇄가 일어나 시력이 떨어지고 안저 검사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아마도 레이저에 의한 염증과 시술 후 장기적인 축동제 사용이 원인일 듯하다. 따라서 안압 조절을 위해 축동제가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산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
=== 시력 장애 === | === 시력 장애 === | ||
홍채 절개 부위가 윗눈꺼풀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지면 사물이 흐리게 보이거나 선이 보이게 되는데 절개 부위가 완전히 노출되거나 윗눈꺼풀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드물게 복시를 호소할 수 있다. 복시는 윗눈꺼풀과 눈물층이 절개 부위로 들어오는 빛을 이등분할 때 나타나게 된다. 윗눈꺼풀에 의해 홍채 절개 부위가 잘 가려져도 복시를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위눈꺼풀 가장자리의 눈물띠가 만드는 프리즘 효과 때문이다<ref>Weintraub J et al. Blurring after iridotomy. ''Ophthalmology''. 1992 Apr;99(4):479-80. [https://pubmed.ncbi.nlm.nih.gov/1584561/ 연결]</ref>. 또 색깔 있는 콘택트렌즈를 쓰면 증상을 없앨 수 있다. | 홍채 절개 부위가 윗눈꺼풀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지면 사물이 흐리게 보이거나 선이 보이게 되는데 절개 부위가 완전히 노출되거나 윗눈꺼풀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드물게 복시를 호소할 수 있다. 복시는 윗눈꺼풀과 눈물층이 절개 부위로 들어오는 빛을 이등분할 때 나타나게 된다. 윗눈꺼풀에 의해 홍채 절개 부위가 잘 가려져도 복시를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위눈꺼풀 가장자리의 눈물띠가 만드는 프리즘 효과 때문이다<ref>Weintraub J et al. Blurring after iridotomy. ''Ophthalmology''. 1992 Apr;99(4):479-80. [https://pubmed.ncbi.nlm.nih.gov/1584561/ 연결]</ref>. 또 색깔 있는 콘택트렌즈를 쓰면 증상을 없앨 수 있다. | ||
{{참고}} | {{참고}} |